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현대차 GBC 부지의 모습.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차그룹이 강남구 삼성동에 건설 중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최고 층수를 105층에서 70층 또는 50층으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설계 변경이 확정되려면 4·7 보궐선거에 당선된 새로운 시장의 '결단'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정이 도시계획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까닭에 공식 심의·의결 절차에 앞서 최종 결정권자인 시장의 판단에 좌우된다는 얘기다.
━
"GBC 설계 변경안 공식 접수되면 새로 선출된 시장에 보고될 것"
━
서울시 관계자는 23일 "GBC 층고를 105층에서 70층 또는 50층으로 낮추는 설계 변경은 도시계획위원회 등 내부 심의 절차에 앞서 결정권자인 시장의 판단이 필요하다"며 "설계 변경안이 공식 접수되면 내부 검토를 거쳐 새로 선출된 시장에게 보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부터 현대차그룹 안팎에선 비용 절감을 위해 GBC 105층 건물 1개 동을 70층짜리 2개 동, 또는 50층짜리 3개 동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돼 왔다.
건설 업계에선 층고 하향시 3조7000억원대 예상 건축비를 1조5000억~2조원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건물 높이를 260m 미만으로 낮추면 국방부에 지불해야 하는 수천억원대 레이더 이전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 신사업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현대차그룹이 설계 변경으로 '실리'를 선택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설계 변경안이 서울시에 공식 접수되지는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현대차그룹으로부터 공식적인 설계 변경안이 전달되지 않아 현대차가 원하는 설계 변경안이 70층인지 50층인지 확인하기 어렵다"고 했다.
앞서 서울시는 GBC 건립 계획과 연계한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잠실주경기장 리모델링 등 9개 사업에 투자될 1조7491억원 규모의 공공기여금만 제대로 이행되면 층고 변경은 긍정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공공기여 조건이 바뀌면 관련 도시관리계획 전면 수정이 불가피한 만큼 이를 GBC 설계 변경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 제안에 현대차그룹도 반대하는 않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GBC 신축과 관련한 공공기여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맞붙게 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사진제공=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서울시 공공기여금 납부 조건으로 허용 기류..시장 유력후보들도 긍정적 입장
━
서울시 내부에선 설계 변경에 긍정적인 분위기다. 층고를 낮춰도 건물 동 수가 늘어나 상한 용적률(800%)에 큰 변화가 없는 만큼 공공기여금엔 영향이 거의 없고, 건물 구조 안전성 측면에서도 더 낫기 때문이다.
여야 유력 서울시장 후보군들의 정책 성향을 고려해도 설계 변경을 이유로 사업을 중단시킬 가능성은 낮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신속한 GBC 개발을 공언했고,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과거 시장 재임시절 군 반대로 지연된 105층 설계안을 결제하면서 신속한 사업 추진을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시장 당선자는 반대 여론을 돌려야 하는 숙제도 있다. 이 문제가 공론화된 직후 관할 강남구청은 "원안대로 105층으로 건립해야 한다"며 설계 변경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 담당 부서와 온라인 시장실 등엔 '현대차 GBC는 반드시 105층으로 지어야 한다'는 민원이 잇따른다.
한편 GBC는 현대차그룹이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해 강남구 삼성동 옛 한국전력 부지에 대규모 신축 사옥 등을 짓는 프로젝트다. 당초 축구장 11배에 달하는 7만9342㎡ 부지에 105층 타워 1개 동, 35층짜리 숙박·업무 시설 1개 동, 6~9층의 전시·컨벤션·공연장 건물 3개 동 등 5개 건물이 들어설 계획이었다.
현대차그룹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2014년 한국전력으로부터 해당 부지를 10조5500억원에 매입했다. 당시 감정가(3조3466억원)의 세 배가 넘는 3.3㎡당 4억4000만원 수준으로 관련 대금은 현대차 55%, 현대모비스 25%, 기아차 20% 등의 비율로 분담했다.
유엄식 기자 usy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