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물가와 GDP

물가 오르고 금리도 들썩…서민 부담 커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양성희 기자] [편집자주]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백신 보급으로 소비가 살아나는데 석유 등 원자재값까지 뛰고 있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국채 금리 상승으로도 이어진다. 자칫 물가와 금리가 경기와 증시의 발목을 잡진 않을지 짚어본다.

[MT리포트] 인플레의 습격④

머니투데이

최근 6개월 가계대출 금리 추이/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




소비자물가가 1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이면서 은행 등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의 걱정도 커진다. 당장 체감할 수준은 아니더라도 시장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금리도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어서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 1월 2.83%로 전월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5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렸다. 6개월 전과 비교해서는 0.21%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금리는 같은 기간 3.46%로 6개월 전보다 0.54%포인트 뛰었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금리가 2.63%, 6개월 전 대비 상승률은 0.18%포인트로 나타났다.

신용등급 1등급 고객이 시중은행에서 받는 신용대출 금리를 봐도 흐름은 같다. 최근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은행의 신용대출 최저금리는 2.59% 수준인데 반년 전만 해도 1.99% 등 1%대 금리가 나왔다. 주담대의 경우도 NH농협은행에서 지난해 7월 1%대(1.96%) 금리가 나왔지만 최근에는 2%대(2.44%)로 뛰었다.

기준이 되는 금융채 등 금리가 상승한 영향보다는 정부가 대출을 옥죈 효과가 컸다. 정부는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의미)에 따른 가수요를 잡기 위해 규제를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대금리를 없애거나 축소한 조치가 대출 금리를 끌어올리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런데 앞으로는 대출 규제에 시장금리 상승도 더해져 금리 인상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신용대출 기준이 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전날 기준 0.847%다. 지난해 7~8월엔 0.7%대로도 내려갔다가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대체로 향후 상승 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코로나19(COVID-19) 백신 등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에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면 국내 시장금리가 영향을 받아서다.

가계대출 상품 70%가량이 변동금리를 기반으로 하기에 대출자들의 타격은 불가피해 보인다. 신용대출의 경우 대부분, 주담대는 절반 이상 변동금리 상품으로 분류된다. 대표적인 서민 대상 주담대 금리도 최근 오르면서 우려를 키웠다. 한국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 금리는 줄곧 동결되다가 연초 0.1%포인트 올랐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부터 대출 규제가 좀더 촘촘해지고 시장금리가 들썩이는 등 대출 금리 상승 요인이 많다”면서 “폭이 가파르지 않더라도 지난해 여름 저점을 찍은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대출 금리 기준이 되는 단기물 금리는 장기물처럼 급격하게 오르지 않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송민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리 상승 국면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아직 체감할 수준은 아니고 시간이 좀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양성희 기자 ya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