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성착취물 실태와 수사

`아동 성착취물 제작` 최대 징역 29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법원 양형위원회가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범죄에 최장 29년3월의 징역형을 선고하는 양형 기준을 확정했다. 확정된 양형 기준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8일 대법원에 따르면 양형위는 전날 106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양형 기준안을 최종 의결했다. 양형 기준이란 판사가 법률에 따라 선고형을 정하고, 결정하는 데 참고하는 기준을 말한다.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상습적으로 제작하면 기본적으로 징역 5~9년을 선고할 수 있게 했다. 이를 영리 목적으로 판매하면 징역 27년까지 선고가 가능하다. 다수범이나 상습범에 대해서는 최장 징역 29년3월을 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구입해도 범행 횟수에 따라 최장 징역 6년9월에 처해진다.

이른바 '몰카' 등 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는 촬영의 경우에는 최장 징역 6년9월을 선고할 수 있다. 이를 영리 목적으로 배포했을 때는 최장 징역 18년이 선고된다. 촬영물 등을 이용한 협박죄는 최장 징역 9년, 강요죄는 징역 18년으로 양형 기준을 상향했다.

양형위는 디지털 성범죄 등에 대해 총 8개의 특별가중 대상과 5개의 특별감경 대상도 제시했다.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