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코로나대출 만기 대비 자본완충력 강화해야
25일 권흥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에 따르면 국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과 기업은행은 올 상반기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55.7% 증가한 5억달러로 집계됐다.
그런데 같은 기간 해외 주요 70개 은행의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36억5000만달러로 127.9%나 늘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연체 등으로 중대한 신용위험이 인식되거나, 손상된 대출채권이 늘어나는 경우에 증가한다.
권 위원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상황은 물론, 거시환경이 양호했던 만큼 국내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증가율이 낮은 점도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으로 은행권의 자산 건전성이 표면적으로는 나빠지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19로 경기침체가 길어지거나 내년 3월 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끝나면 잠재 부실이 본격적으로 현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권 위원은 “은행들이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적절한 수익성을 확보하고,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인 대손 비용 증가 가능성을 배당금 결정에 반영해 충분한 자본 완충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