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암투병 김철민, 국감서 “개 구충제 먹고 암 더커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인장액 ·죽순식초 제안도 …암환자, 이상한 제품 현혹되기 쉬워”

폐암 치료를 위해 개 구충제(펜벤다졸)을 먹다가 부작용으로 복용을 중단한 개그맨 김철민(53)씨가 22일 국회 국정감사에 등장해 “검증되지 않은 대체요법의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개그맨 김철민 페이스북


김씨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영상으로 참고인 신분으로 참여했다. 원래는 현장에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녹화 영상으로 대체됐다.

검은색 후드 점퍼를 입은 김씨는 “2019년 8월 6일 폐암 4기 판정을 받았고 폐에서 림프, 간, 뼈로 암이 전이됐다”면서 “많은 분이 소셜미디어와 메신저로 펜벤다졸을 먹고 3개월만에 완치 판정을 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영상을 보내줬다”고 했다.

김씨는 영상에서 “암세포가 더 커졌고 경추에도 큰 수술을 받아야 할 정도로 전이가 됐다”며 “병원에서 (개 구충제) 내성이 생기면 치료가 더 힘들어질 수 있다고 해 복용을 중단했다”고 했다.

이후 김씨는 “선인장 가루를 액으로 만들어 마시면 폐암이 사라진다는 제안도 받았고 (제안 받은 것 중에는) 대나무 죽순으로 만든 식초도 있었다”며 “암 환자들은 이상한 제품에 현혹되기 쉽고 위험성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상담 없이 개인적으로 ‘다른 사람이 좋아졌다면 나도 좋아진다’고 생각하고 복용하기 쉽다. 전문적으로 상담해주는 의사가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조선일보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조선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국감에서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은 국립보건연구원 산하에 대체의학 연구 센터가 있어 환자들을 위한 치료법 근거 마련과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있다”며 “대체요법을 제도권 안으로 들여와 실태조사를 하고 근거 수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사이비 의료와 구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대체 요법을 제도권 안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며 “암 환자들이 매일 상담을 하거나 (대체 요법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의료체계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강구해야 할지 깊이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8월 폐암 말기 투병 사실을 밝힌 김씨는 그해 9월부터 펜벤다졸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구충제 복용을 시작한 김씨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거나 노래하는 사진을 꾸준히 올리며 상태가 호전되고 있음을 알려왔다. 김씨는 올해 4월 중순에도 “항암제(타그리소)와 펜벤다졸 복용한 지 6개월이 지나가고 있다”며 “분명히 좋아지고 있다. 기적은 일어난다”고 썼다.

하지만 올해 9월 김씨는 “구충제가 암세포를 죽이지 못했다. 저는 실패했지만 꼭 성공하는 분들이 나왔으면 좋겠다”며 복용 중단 사실을 밝혔다.

김씨는 “나는 지금 악화됐기 때문에, 안 좋아졌기 때문에 (암환자들에게) 절대 권하고 싶지 않다”며 “우리 가족이 그런 일이 있다면 나는 반대할 거다. 먹지 말라고 할 것”이라고 했다.

[김승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