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가장 긴 우리말 지명은 '옥낭각씨베짜는바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시 주암산 능선을 오르다 보면 큰 바위가 하나 나옵니다.

이름이 '옥낭각씨베짜는바위'인데, 이름대로 각시가 베를 짜는 모습으론 잘 보이지 않고 그냥 큰 바위일 뿐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해 전국의 고시된 지명 10만 개를 분석한 결과를 6일 공개했습니다.

옥낭각씨베짜는바위는 주암산이 걸쳐 있는 대구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큰 바위로, 바로 앞 가창저수지를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바위산이 베를 짤 수 있을 정도로 넓어서 옛날 옥낭각시가 베를 짜다 총각에게 쫓겨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전국 대다수 지명은 고유어와 한자어, 둘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중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만1천771개, 한자어는 4만5천961개, 혼합어 지명은 1만7천657개입니다.

고유어 지명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새로 마을이 생겼다'라는 의미의 '새터'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비롯해 전국에 273개가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서 '절골'(142개), '새말'(110개), '안골'(96개), '큰골'(68개), '뒷골'(66개) 등이 있습니다.

전국의 한자어 지명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의 '신촌'(新村)이 263개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신기'(新基·192개), '평촌'(坪村·138개), '송정'(松亭·126개), '내동'(內洞·119개) 등이 있습니다.

혼합어 지명 중에선 '양지말'(陽地말)이 97개로 가장 많습니다.

따뜻한 곳을 뜻하는 '양지'(陽地)에 마을을 뜻하는 '말'이 붙어 만들어졌습니다.

이어서 '점말'(店말)과 '장터'(場터) 순입니다.

마을을 나타내는 지명 중에서 뒤에 '골'이 들어간 지명은 6천127개로 집계됐습니다.

'촌'(村·2천701개), '말'(2천49개), '곡'(谷·1천599개), '마을'(487개), '뜸'(146개) 등이 들어간 지명보다 월등히 많았습니다.

전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南山)'으로 101개가 있습니다.

봉우리의 경우 국사봉(國師峰)으로 80개가 쓰이고 있습니다.

옛날 마을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인 '장승'을 이용한 지명도 서울의 장승배기 등 전국에 39곳이 있습니다.

(사진=국토지리정보원 자료 제공, 연합뉴스)
권태훈 기자(rhorse@sbs.co.kr)

▶ [마부작침] 아무나 모르는 의원님의 '골목식당'
​▶ [뉴스속보] 코로나19 재확산 현황
▶ 더 깊은 인물 이야기 '그, 사람'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