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서울 ‘갭투자’ 3명 중 1명은 30대…“실수요와 투기 구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서울에서 일어난 갭투자 거래 3가구 중 1가구는 30대가 산 것으로 나타났다. 셔터스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년간 서울에서 거래된 ‘갭투자’ 3가구 중 1가구는 30대가 산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김상훈 국민의 힘 의원에게 제출한 ‘수도권 연령대별 주택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에서 갭투자로 거래된 집은 7만1564건이었다. 자금조달계획서상 보증금 승계 거래 중 임대 목적 매입으로 기록된 거래를 갭투자로 봤다.

전체 갭투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가 30.7%로 가장 많았다. 40대(28.6%)와 50대(20.3%)가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은 14.7%, 20대 비중은 5.5%였다. 30대의 갭투자 거래 비중은 꾸준히 늘어났다. 5월 31.0%에서 6월 32.9%, 7월 31.9%, 8월 37.6%를 기록했다.

30대가 갭투자를 위해 가장 선호한 지역은 성동구(39.6%)였다. 이어 강서구(35.4%), 중구(35.2%), 동작구(34.7%), 구로구(34.1%) 순이다. 김상훈 국민의 힘 의원은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이 그나마 서울에서 실거주 매매가 가능한 지역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갭투자를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전세가 있는 집을 매입하는 갭투자는 매매가격에서 전세보증금을 뺀 나머지 자금만 있으면 집을 살 수 있어 자금 여력이 부족한 젊은 층의 대표적인 내 집 마련 수단으로 꼽혔다. 하지만 적은 자금으로 여러 채를 사들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기 방식으로도 활용됐다.

정부는 지난 6‧17대책을 통해 갭투자를 원천 차단하겠다고 나섰다. 당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갭투자를 통한 시장교란 요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갭투자 차단을 위해 주택담보대출 등 실수요 요건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정부의 이러한 대책에 대해 “실수요와 투기를 구분하지 않은 갭투자 규제는 자칫 청년 세대의 내 집 마련 사다리를 걷어차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