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美 화웨이 제재 15일 발효…삼성 등 韓기업 이해득실 따져봤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오는 15일 미국 상무부의 화웨이 제재가 발효된다. 명목은 미국의 국가안보다. 하지만 군사용 목적과 무관한 제품까지 마구잡이로 미 정부가 수출 통제 품목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고래 싸움에 끼어 대형 고객을 잃을 위기에 놓인 우리 기업들은 곤혹스럽다. 이미 화웨이와의 거래를 속속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체가 대표적이다.

다만, 스마트폰 공급자인 화웨이의 퇴출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수요의 위축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또 다른 스마트폰 업체가 빈 자리를 채울 것이고 결국 글로벌 부품 수요는 여전할 것이란 주장이다.

게다가 B2B 업체이자 B2C 업체이기도 한 삼성전자로서는 화웨이의 공백을 틈타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을 탈환할 수 있는 비즈니스 기회를 맞이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뉴스핌

[베이징 로이터=뉴스핌] 이홍규 기자 = 마스크를 쓴 한 남성이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화웨이 매장 앞을 지나가고 있다. 2020.05.18 bernard0202@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일 관련업계에 다르면 미 제재 강화로 우리 기업이 단기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업종은 반도체다.

2019년 기준 화웨이의 반도체 구매액은 208억달러로 세계 3위다(가트너 조사). 삼성전자와 스마트폰 시장에서 1, 2위를 다투면서 어느새 '큰손'이 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매출에서 화웨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2%(7조3700억원), 11.4%(3조원)로 추산된다(유진투자증권 보고서).

당장 3분기에는 화웨이가 신속히 재고 축적에 나서면서 D램 가격이 버티고 있다. 하지만 4분기 이후로는 굵직한 D램 수요처가 사라지면서 가격 하락세가 재연될 수 있다.

◆ '빅 바이어' 화웨이 퇴출되면…반·디 매출, 일시적 타격 불가피

미 화웨이 제재로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는 3조원의 매출처가 사라질 위기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화웨이에 납품하는 OLED에는 패널을 컨트롤하는 드라이버IC(집적회로), 터치IC 등 반도체가 들어간다. 미국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설계자산이어서 제재 대상에 포함된다.

매출에서 화웨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삼성디스플레이가 8%(2조5000억원), LG디스플레이가 1%(235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뉴스핌

삼성디스플레이 아산2캠퍼스<사진=뉴스핌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외 LG이노텍도 화웨이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데 매출 비중이 약 5%(4150억원)다. 삼성전기도 화웨이에 소량의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를 공급 중이다.

화웨이에 대한 제재로 우리 기업들이 당장 주요 고객사를 잃게 됐지만,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수요 자체가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이런 이유로 한국 부품 업체들이 화웨이를 대체할 다른 고객사를 신속히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란 시각도 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전체 매출에서 화웨이의 비중이 미미한데다, 글로벌 부품 수요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고객사 다변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SMIC도 제재 받으면…삼성 파운드리에 오히려 기회

이번 제재가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미칠 영향도 다소 불확실하다. 화웨이는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주요 고객이 아니어서 일단 타격이 크지 않다.

게다가 미국은 중국 화웨이에 이어 글로벌 5위, 중국 1위 파운드리 업체인 SMIC를 무역 블랙리스트에 넣는 것을 검토 중이다. SMIC는 올해 3분기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4.5%의 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SMIC의 빈자리가 삼성전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위원은 "한국 파운드리 기업은 중국 외 지역에 생산라인을 보유했다는 점, 100K(10만장) 이상의 안정적 생산능력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중화권 파운드리 업체의 대체재로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 삼성, 스마트폰·통신장비 시장서 점유율 탈환 노린다

화웨이에 대한 제재로 우리 기업이 B2B 비즈니스에서 고객처를 잃는 것과 달리 B2C 시장에서는 기회가 열렸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중국 내수시장에서 화웨이의 빈자리는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화권 경쟁사들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또 북미나 인도 등에서는 애당초 화웨이 비중이 미미하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김선엽 기자 = 2020.09.11 sunup@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유럽이나 남미의 경우 화웨이의 몰락으로 우리 기업이 반사이익을 입을 수 있다.

상상인증권은 "동유럽과 남미 지역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연간 2억5000개로 글로벌 시장의 20% 규모이며 이 중 화웨이 점유율이 10% 전후"라며 "이 지역에서는 삼성전자와 애플이 고스란히 수혜를 차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박형우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화웨이의 생산과 판매 차질로 3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급반등이 전망된다"며 "부품 협력 사들에 부품의 공급 상향을 요청 중"이라고 말했다.

화웨이는 세계 2위 스마트폰 업체이자 1위 통신장비 회사다. 화웨이가 배제되는 틈을 타 이달 초 삼성전자는 미국 버라이즌(Verizon)과 5G 장비 공급계약을 맺었다. 8조원 규모로 한국 통신장비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수출 계약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델오로 그룹(Dell'Oro Group)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7위다.

10년 전 글로벌 LTE 시장이 열릴 때 경쟁업체들에게 주도권을 내준 이후 추격의 기회를 잡지 못했던 삼성전자는 특히 유럽시장에서 화웨이가 승승장구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김동원 KB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최대 통신업체에 역대 최대 규모 수주로 의미 있는 레퍼런스를 확보하였고 향후 미국·유럽 통신업체들로 5G 통신장비 점유율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sunup@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