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한국코인노래연습장협회가 연 기자회견에서 코인노래연습장 업주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집합금지명령으로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피해를 본 고위험시설 업종 자영업자에게 200만원씩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자영업자들은 피해규모에 준하는 지원금 지급을 요구하고 나섰다.
9일 한국코인노래연습장협회는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협회에서 코인노래연습장 250여곳을 조사한 결과 집합금지 명령으로 영업을 중단한 50여일 동안 업장 평균 15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정부가 영업정지에 따른 피해규모에 비해 너무 적은 액수의 지원금을 책정하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영업손실을 조사해 피해규모에 준하는 지원금을 지급해달라”고 주장했다. 이날 한국인터넷피시(PC)문화협회도 국회와 서울시청 앞에서 협회원 네 명이 1인 시위를 열고 피시방을 고위험 업종에서 제외하고 영업중단에 따른 손실을 고려해 지원금을 책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한국신용데이터가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65만곳의 카드결제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준 3단계가 시행됐던 9월 첫째 주(8월 31일~9월 6일) 서울 소상공인 매출 지수는 0.63으로 올해 들어 가장 낮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의 63%밖에 올리지 못했다는 뜻이다. 같은 기간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평균 매출은 0.75였고, 업종별로는 스포츠·레저 부문(0.48), 교육 부문(0.57)의 타격이 가장 컸다. 대형학원과 실내집단운동시설 등이 집합금지로 영업을 중단한 영향으로 보인다. 최근 부동산114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상가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서도 서울 상가 가운데 피시방, 노래방 등이 포함된 관광·여가·오락 업종이 1분기 1만1714개에서 2분기 1만454개로 10.8% 감소해 폐업률이 가장 높았다.
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의 한 코인노래연습장 앞에 영업 종료를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김윤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영업자들은 그나마 폐업이라도 할 수 있는 곳은 사정이 나은 편이라고 입을 모은다.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3년째 코인노래연습장을 운영하는 박진실(44)씨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임대 계약 기간이 끝나는 내년 6월까지 기다릴 수 없어 최근 상가를 내놨지만, 부동산에서도 지금은 안 팔릴 거라고 말한다”며 “모아둔 돈을 다 쓰고 월세를 보증금에서 깎아 먹고 대출을 받아 버티고 있는 터라 계약 기간이 끝나 폐업할 수 있는 업주들이 부러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박씨가 최근 사업장 앞에 붙인 현수막은 온라인에서 화제를 모았다. 현수막에는 “정부가 문을 닫으라고 해 닫았다. 50일 동안 임대료, 전기세, 인증비, 저작권료, 보험비 등 고정 비용이 장난 아니다”라며 “또 닫으라고 해 폐업이 아니라 진짜 망했다”고 적혀 있다.
올해 초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코인노래연습장 5곳을 운영하던 경기석(55)씨(한국코인노래연습장협회장)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지난 2월 한 곳을 팔았고 이달 말 임대 계약이 만료되는 2곳을 추가로 폐업할 예정이다. 경씨는 최근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경씨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폐업 철거 비용만 1000~1200만원이 들고, 65~70만원이었던 노래방 반주기가 최근에는 15만원에 팔리는 등 중고기계 가격도 절반 이상 떨어져 당장 돈이 없어 폐업을 못 하는 경우도 많다”며 “그나마 폐업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재민 한국인터넷피시문화협회 서울부지부장은 “피시방 300여곳을 조사한 결과 평균 임대료 300~400만원, 인터넷전용선 비용 70만원, 공과금 120만원 등 월 최소 고정 비용만 600만원에 이른다”며 “임대 계약 기간이 남아 폐업도 하지 못하고 빚만 쌓여가는 업주들이 많은데, 최소한 정부 지침대로 영업을 중단하면서 생긴 피해만이라도 정부에서 보전해달라는 게 저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