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정부 VS 의료계 첨예한 대립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들 "공감 못 얻는 단체행동 멈춰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명투표에 학교·학년별 찬성률 공개해 비난하기도"
"정책 문제 있지만 의료공백으로 시민피해에 반작용"
한국일보

전공의·전임의 등 의료계가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주요 정책 철회를 촉구하며 집단휴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에서 내원객이 진료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 등에 대한 반대로 이어지고 있는 의사들의 집단휴진,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거부 등에 의문을 제기하며 성명을 발표한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들' 모임 측이 1일 일방적인 단체행동을 멈춰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다.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들 모임 운영자라고 밝힌 A씨는 이날 오전 YTN라디오 '출발 새아침'에서 전날 발표한 성명과 관련해 "가장 먼저 시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 하는 단체행동을 멈추고 원래 자리로 돌아가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었다"고 했다.

성명에서 '비민주적인 의견 수렴, 일방적인 결정으로 정당성을 잃은 단체활동'이라는 취지로 비판한 것을 두고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의견수렴 절차의 경우 단체행동 참여 여부를 소속 학교, 학번, 실명까지 기입하도록 해 조사했다"고 밝혔다. 학교·학년별 투표율과 찬성자 비율을 공개하기도 했다고도 전했다.

그는 "의대생 사회 내에서 이미 단체행동에 동참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 개인정보를 다 공개하고 기명투표로 진행하는 것은 찬성하지 않는, 다른 의견이 제기될 여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동참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일종의 사회적 낙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참여율이 낮은 학교나 학년을 공공연하게 비난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

지난달 31일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장인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정부가 오는 9월 1일부터 실시할 예정이었던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을 일주일 단위로 연기한다. 의대정원 확대 등을 반대해 실기시험 응시를 거부한 의대생의 유급과 향후 진료역량 손실 등을 우려해 내린 결정이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씨에 따르면 이 조사에서 참여 여부를 묻는 문항은 '찬성', '반대'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율과 무관하게 참여', '전 의대생 50% 이상 참여시 동참', '전 의대생 70% 이상 참여시 동참', '참여의사 없음' 등으로 선택지가 세분돼있었다고 한다.

그는 이와 관련해 "참여를 유도하는 뉘앙스를 풍기는 선택지 구성이었는데 50% 또는 70% 이상 참여시 동참이라는 선택지를 선택한 사람이 대다수였으나 의대협에서는 이를 다 포함해 90% 이상이 단체행동에 동참한다고 결론내렸다"며 "참여를 유도해 단체행동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또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서 '국시 접수취소 의대생 구제 반대' 청원에 36만 명이 넘는 인원이 동의한 것을 놓고는 "정부의 정책에 문제가 있는 것은 맞지만, 우리의 단체행동이 시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한 것이 가장 컸다"며 "실제 의료공백이 생기고, 그로 인해 시민들이 피해를 보면서 반작용으로 이런 수치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봤다.

아울러 "지금 사태를 의약 분업과 많이 비교하는데 그때에 비해 지금은 잃을 것이 많은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전면에 내세워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며 "의대생들은 동맹 휴학을 하든 국시 거부를 하든 1년이라는 시간을 손해보고, 전공의들도 병원에서 수련·교육을 받는 입장인데 최전선에 나서 단체행동을 하고 정작 연차가 있는 분들의 행동은 미적지근하다"고 짚기도 했다.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 모임은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분위기를 고려, 정부 의료정책 개정안에 반대하는 단체행동의 방향성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의대생들을 주축으로 만든 익명 단체다. 단체 측은 활동 이후 뜻을 같이 하는 전공의들이 참여의사를 밝히면서 이날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전공의'로 명칭을 변경했다고 덧붙였다.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