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태현 기자 holjjak@)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14일 이후 줄곧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세 자릿수를 기록하자 정부는 19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등 상황이 나아지지 않자 정부는 이번 주 중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고려 중이다. 사실상 사회·경제적 활동이 봉쇄되는 3단계가 시행될 땐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국민의 고통이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2차 재난지원금'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특히 2차 재난지원금을 1차 재난지원금과 같이 전 국민에게 지급해야 하는지, 혹은 소득 하위 50%에게만 선별적으로 지급해야 하는지 등 '방법론'에 관해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막상 여론은 '2차 재난지원금'의 필요성에는 인식은 함께 하면서도 '보편 지급'과 '선별 지급'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앞서 리얼미터가 25일 전국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6%는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다만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찬성한 답변을 지급 대상으로 나누면 '전 국민 지급'(보편 지급)은 40.5%, 선별 지급은 36.1%로 팽팽한 결과가 나왔다.
2차 재난지원금은 과연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효과가 있을까. 그리고 준다면 누구에게 지급해야 할까. 이와 관련해 경제 전문가들의 생각을 직접 들어봤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재난지원금 지급은 '공정'의 문제…전 국민에게 '보편' 지급해야"
강남훈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는 2차 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차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컸을 뿐만 아니라 보편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이 '공정'하다고 판단하기 때문.
강 교수는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의 대표적 기준인 '소득 하위 50%'를 예로 들었다. 그는 '소득 상위 50%' 계층의 경우 사실상 세금을 다 내지만 소득 하위 50% 계층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는 이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국민이 다 어려워졌는데 평소에 세금을 많이 내던 이들을 돈이 많다는 이유로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면 납세 의욕이 많이 꺾일 것"이라고 말했다. 즉, 재난지원금 지급 기준에 해당하지 않으면서도 납세를 하는 계층이 불공정하다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50%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없다"며 "선별하는 기준에서 ±10% 되는 사람들은 불공정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원금 지급으로 51% 계층보다도 50% 계층의 소득이 높아질 수 있다"며 "상당히 많은 사람의 소득이 역전돼 불공정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그는 "선별적 지원금 지급으로 인해 소득이 역전되거나 불공정하다는 생각을 하는 국민이 많이 생기면 국민 전체의 단합을 깨뜨리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세금을 늘려서 복지를 더 늘리자는 주장을 국민이 싫어하게 된다"라며 "그렇게 되면 장기적으로 취약 계층이 받는 금액이 점점 줄어들 수 있다"고 예측했다.
보편적으로 지급할 경우 재정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선 "무이자로 국채를 발행해서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 인수시키면 된다"며 "수십 년 뒤에 천천히 갚거나 나중에 경기가 회복됐을 때는 국채를 발행 안 하면 된다"고 답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 1차 재난지원금으로 재정 악화…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응력 높여야"
반면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2차 재난지원금을 선별적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차 재난지원금을 통해 이미 재정을 많이 사용했고, 코로나19가 장기화할 때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성 교수는 "1차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인해 이미 재정 여건이 나빠져 있다"며 "(보편적 지급을) 반복하는 것은 상당히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5월 전 국민에게 지급한 1차 긴급재난지원금은 14조3000억 원으로, 이 가운데 지방자치단체 부담분을 제외한 12조2000억 원을 중앙정부인 기획재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마련했다. 게다가 3차 추경 후 기재부가 발표한 국가 채무는 839조4000억 원으로, 국가채무비율은 43.5%를 기록한 상황이다. 만약 2차 재난지원금을 1차와 마찬가지로 전 국민에게 지급할 땐 국가채무가 853조7000억 원까지 불어나게 된다.
그는 "소비 진작 효과가 없다면 소득이 낮거나 취약계층이거나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은 계층을 중심으로 집중 지원을 하는 게 맞다"며 "선별적으로 지급할 경우 재정을 건전하게 유지하면서도 현재 상태가 장기화하더라도 대처할 수 있는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급 방식에 대해선 "국민에게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선 정도에서 지원하되 감염 확산 통제를 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영업을 못 하게 된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들에게 지급하거나 소득 분위가 낮은 이들에게 직접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난지원금 지급 외에 금융지원 부분에 재정을 투입하는 부분도 가능하다"며 "사회보험료 등을 일정 부분 감면해주는 방법도 있다"고 덧붙였다.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