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과기정통부 '5G품질평가' 발표
다운로드 속도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정부의 5G 품질 평가 결과, 통신 3사 중 SK텔레콤의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광화문 정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상반기 5G 통신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월 5G를 상용화한 이후 처음으로 진행된 5G 평가다. 이번 조사는 상용화 초기라는 점을 감안해 서울과 6대 광역시 도심을 기준으로 진행됐다.
통신3사의 5G 평균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656.56Mbps였다. 이는 지난해 조사에서 158.53Mbps를 기록했던 LTE(4G)보다 4배 빠른 속도다. 업체별로 보면,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788.97Mbps)이 가장 빨랐다. 이어 KT(652.10Mbps), LG유플러스(528.60Mbps)순이었다.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은 "지금으로서는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좋다, 나쁘다고 판단하기 어렵지만, LTE보다는 3∼4배 정도 빠르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홍진배 통신정책국장과의 일문일답
-LTE 전환율 관련, 인빌딩 조사가 안들어간 것 같다. 표본이 편향된 것 아닌가
▲인빌딩에 대해서 조사가 들어갔다. 인빌딩 주요 대상은 환경부에서 주요 시설로 밝힌 5000여개 시설을 대상으로 했다. 거기에 대해서 조사가 된 것이다. 그 중 1275개가 구축이 됐다. 한 개 시설이 굉장히 크다. 대형마트 같은 것이 그 예인데, 그 속도까지 측정이 된 것이다. 실제로 여기서 5G를 써보면서 측정을 했다.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왔다고 평가하는지, 평가 지표 중 접속 시간을 넣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론적인 속도가 예전에 보면 5G가 20기가다 이런 이야기 있었는데, 그건 모든 기술이 다 적용이 됐을 때다. 사실 LTE도 이론적인 속도는 1기가다. LTE가 성숙된 서비스인데도 필드에서 150Mbps 정도 나온다. 기술개발과 주파수 대역 확대 등이 합쳐졌을 때 점점 이론적인 속도에 근접해 갈 것으로 본다. LTE 때도 똑같이 2010년부터 품질측정이 계속됐다. 2013년에 30에서 50메가 정도 나왔고 2019년에 150매가 대로 나왔다. 망 안정화와 함께 속도는 쭉 올라간다. 656메가가 좋다 나쁘다 판단하기 어렵지만 LTE 대비해서는 300~400 더 빨라진 것이다. 접속시간을 넣은 것은 코어망까지 연결되는 시간을 넣은 것이다. 5G 서비스가 NSA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고, SA 전환 사업자가 예정이 돼있기 때문에 나중에 전환됐을 때 차이점을 보기 위해서 신규지표로 넣었다. 기본적으로 중요한 지표는 5G 다운로드 속도긴 하다. 아직은 초기라 LTE 전환율도 살펴본 것이다.
-5G 품질평가를 상, 하반기로 나눠 발표한 이유가 있는지
▲2월에 품질평가 방향을 이례적으로 발표했다. 코로나19로 투자 촉진의 필요성 때문에 두번 실시했다.
-소비자의 인식과 결과의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다.
▲인빌딩은 아직 공고히 해야 할 것이고, 구축되는 인빌딩 장비들이 아직 많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주요 시설도 보면, 5G 융합 플러스 계획에 보면 2000개 주요 시설에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전국망 구축은 꾸준히 가야되기 때문에, 이번 품질 평가 결과를 반영해서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하겠다.
-품질평가에 대한 총평과 특별하게 이통사가 주력해서 보강했으면 하는 부분이 있나
▲5G 최초 평가기 때문에 어느정도가 나올지 예상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이론적인 속도가 있고, 실제 필드에서 나오는 속도가 있다. 그래서 평가하기 어렵다. LTE보다는 300~400나오는 거 봐서는 망이 안정적으로 깔려가고 있는 것으로 봤다. 물론 음영지역도 많고 인빌딩으로 커버해야 할 지역도 많다. 앞으로 깔 때의 기준지표가 되지 않겠나. 그런 생각이 든다. 통신사에 기대하는 거는, 경쟁적으로 투자가 더 일어나서, 좀 더 인빌딩과 전국 망 구축에 노력을 해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통신 품질이 갖춰졌으면 좋겠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