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수돗물 유충 사태

7월21일 수돗물 절반이 줄줄 새는 지자체는 어디일까요 [오래 전 ‘이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 1990년 7월21일 수돗물 절반이 줄줄 새는 지자체는 어디일까요

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돗물에서 유충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인천시에서 발생한 유충은 공촌정수장 수돗물의 맛·냄새·미량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한 입상활성탄지에서 번식된 깔따구 유충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0일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원인 조사 및 전국 정수장 긴급점검을 지시했습니다.

경향신문

1995년 1월 서울시와 인천시의 광역 상수도관이 누수돼 긴급보수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0년 전에는 수돗물과 관련해 어떤 것이 이슈였을까요. 1990년 7월21일자 경향신문에는 ‘수돗물 누수율 26%’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서울시 수돗물의 4분의 1 이상이 지하 누수 등으로 손실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다는 취지의 내용이었습니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생산된 수돗물의 유효율(실제 수도요금 징수분) 61.74%, 화재진압·청소 등 공공용으로 사용된 수돗물은 12%로 나머지 26.26%가 누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루 평균 100백t 이상의 수돗물이 낭비됐다는 계산으로 이만한 규모의 수돗물을 생산할 수 있는 수원지 1개소를 건설하는 데는 5~6년의 기간과 12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서울의 수돗물 유효율은 도쿄(79.89%), 로마(75%) 등 선진국 도시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원인으로는 낡은 급수관의 부식, 고지대가 많아 저지대로부터 높은 수압을 유지해야 하는 서울의 지역적 특성 등이 꼽혔습니다.

최근에는 누수율 수치가 어떨까요. 환경부가 올해 초 발표한 ‘2018년 상수도 통계’를 보면 누수율은 11%가량이었습니다. 2018년 국내에 공급된 수돗물 총량은 66억5600만㎥였지만 상수도관 노후 등으로 연간 수돗물 총급수량의 10.8%인 7억2100만t의 수돗물이 가정이나 사무실, 식당 등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누수됐습니다.

경향신문

1975년 11월 말 경향신문에 실린 광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누수율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습니다. 2018년 기준 누수율이 가장 낮은 지자체는 서울(2.4%), 가장 높은 지자체는 제주도(43.3%)였습니다. 제주도의 누수율이 높은 이유는 암반으로 이뤄진 지반 특성상 물이 새 지하로 스며드는 만큼 누수되는 지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 제주도의 설명입니다. 제주도는 2007년부터 2013년부터 유수율, 누수율 등 통계를 허위로 발표해왔다가 2015년 감사에서 적발돼 대도민 사과를 하기도 했습니다.

제주도는 올해 초 ‘새는 물 잡기’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2026년까지 매년 400억원 이상을 투입해 도심지인 동 지역을 대상으로 상수관망 블록구축 사업과 배급수관로의 시설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2018년 기준 상수도 유수율(정수장에서 생산한 수돗물이 가정까지 도달해 요금 수입으로 받아들이는 수량의 비율) 46.2%를 2025년까지 전국 평균인 85%로 끌어올리려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