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트럼프, ‘WHO 탈퇴’ 공식 통보에…바이든 “대통령되면 재가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후 세계보건기구(WHO)의 중국 편향을 줄곧 비판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7일 WHO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다만 탈퇴 완료까지 1년이 필요하고 야당 민주당은 물론 집권 공화당에서도 반대가 상당해 최종 탈퇴로 이어질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CNN 등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이날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미국의 WHO 탈퇴 고지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UN도 서한을 받았다고 공개했다. 약 1년의 탈퇴 과정을 거쳐 미국은 2021년 7월 6일 WHO에서 완전히 손을 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5월 18일 “WHO가 30일 안에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WHO 지원을 중단하고 탈퇴도 고려하겠다. WHO는 중국의 꼭둑각시”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같은 달 29일에는 “미국은 WHO에 연 4억5000만 달러를 낸다. 중국은 4000만 달러만 내면서도 WHO를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며 “WHO의 관계를 끝내겠다”고 선언했다.

미국의 지원금은 WHO의 연간 예산의 15%에 달한다. 실제 탈퇴가 이뤄지면 WHO의 국제보건 활동이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 WHO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미 미국은 약 2억 달러의 돈을 내지 않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탈퇴를 완료하려면 밀린 돈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대통령이 이를 의회 동의 없이 진행할 수 있을지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초강수가 미국의 코로나19 부실 대처에 대한 비난 여론의 책임을 전가하고, 이를 11월 대선의 쟁점으로 삼으려는 시도라는 비판 또한 상당하다.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은 트위터에 “미국이 세계 보건 강화에 관여할 때 미국인이 더 안전하다”며 대선에서 승리하자마자 곧바로 WHO에 재가입하고 세계 무대에서 미국의 지도력을 회복하겠다고 선언했다. 라마 알렉산더 공화당 상원의원은 “대통령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 WHO 실수를 조사해야 하지만 코로나19 위기가 끝난 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아형 기자 abro@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