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급등에 2030 '脫 서울'...경기도로 줄줄이 이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년인구, 서울에서 빠지고 경기도에서는 늘어나
서울 전·월세 상승·3기 新도시 영향에 줄줄이 이동

"통장에 꽂히는 월급은 거의 똑같은데 주변 집값 시세는 전부 다 올랐어요"

서울 용산구 후암동에 거주하는 김모(27)씨는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로 이사를 계획하고 있다. 취업하고 재작년부터 살고 있는 원룸의 재계약 시기를 두달 앞두고 집주인이 기존 전세금을 10% 올리거나, 월세 조건으로 바꾸는 기준을 내세우면서다. 해외 대학원을 준비하는 김씨는 자금 마련을 위해서라도 서울에 사는 것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주택 매매가에 이어 전·월세 가격까지 치솟으면서 김씨처럼 1인가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청년인구까지 서울을 빠져나가고 있다. 경기 광명, 광교 등 서울로 출퇴근하거나 통학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신도시들이 개발에 속도를 내는 만큼 청년 인구의 ‘탈(脫) 서울’ 현상의 종착지는 경기 지역이었다.

조선비즈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에서 시민들이 길을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표한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현황 및 특징’에 따르면 지난 2007~2018년까지 약 11년간 서울 청년 인구의 유입비율은 9.4%인 반면, 유출비율은 19.9%로 두배에 달했다. 같은기간 경기 지역에서는 청년인구의 유입 비율이 21.5%로 유출 비율 (10.0%)보다 두배 높았다.

주택 매매가가 오르면서 서울에서 경기 지역으로 이동하는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로 이동한 인구는 9만1954명으로 전체 유입 인구의 약 68%를 차지했다. 20대 및 30대의 인구 이동률은 각각 23.1%, 21%로 타 연령대(6~15%)에 높은 편을 나타냈다.

최근에는 전·월세가격까지 상승하면서 청년층과 같은 1인 가구의 집값 부담이 커지는 모습이다. 부동산 중개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원룸(계약면적 30㎡ 이하) 평균 전세 보증금은 1억4388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870만원(15%) 올랐다. 지난달 서울 원룸의 평균 월세는 53만원으로 전월보다 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114만원), 서대문구(79만원), 성동구(73만원)의 방 두·세개짜리 집의 월세가격은 최근 1년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황광훈 한국고용정보원 고용통계조사팀 책임연구원은 "지난 10여년 간 수도권은 다른 지역에 비해 20~30대 유입인구가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서울은 유출 현상이, 경기도에서는 유입 현상이 뚜렷했다"며 "서울의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경기지역 내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서울 청년 인구가 일부 경기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청년층 대상으로 공급하는 공공주택 비율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0년 주거종합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안에 공공임대 및 공공지원임대주택을 총 18만1000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청년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은 4만3000호로 지난 2018년(3만5000호)과 지난해(4만1000호) 계획한 규모보다 늘었다.

조선비즈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지난 1월 29일 국회에서 3호 총선 공약 '청년·신혼 맞춤형 도시 조성 등을 통한 주택 10만호 공급' 약속을 참석한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전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덕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부를 비롯한 여당도 경기 광교, 광명 수도권 3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청년 주거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총선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수도권 3기 신도시 택지개발지구 내 지하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역세권에 청년벤처타운, 신혼부부특화단지가 연계된 '청년·신혼 맞춤형 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년들의 이 같은 인구 이동 대부분은 여전히 수도권 안에서만 이뤄지는 상태다.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를 흡수하는 건 비수도권이 아닌 또 다른 수도권인 경기나 인천 지역이다.

이 때문에 청년 인구의 탈(脫)서울화는 이들의 자발적인 의지보다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쫓겨나듯 외곽으로 향한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서울 내 주택들의 단순 매매가에 이어 최근에는 전셋가까지 치솟으면서 이를 견디지 못하고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며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 비자발적으로 이전하는 젠트리피케이션(내몰림) 현상의 하나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9년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거주 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50%를 넘어섰다. 전년도와 비교해 인구가 늘어난 시·군·구 1~10위는 모든 지역이 수도권에 해당된 반면, 부산, 대구, 전북, 대전, 전남 등 대부분의 비수도권 인구는 감소했다.

권유정 기자(y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