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충남 태안 신진도에서 조선시대 안흥진 수군 군적부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옛 수군 주둔지와 인접한 신진도 고가 벽지로 사용돼…지역민 신고

고가에서 판독 가능한 한시 3편도 발견…지역 문학적 맥락과 맞닿아

뉴스1

충남 태안 신진도에서 조선시대 안흥진 수군 군적부가 발견됐다.(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충남 태안 안흥진성 인근 신진도 고가(古家) 벽지에서 조선 후기 수군의 명단이 적혀 있는 군적부를 지역 주민의 신고로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수군 군적부는 조선 후기인 19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안흥진 소속 60여명의 군역 의무자를 전투 군인인 수군과 보조적 역할을 하는 보인으로 나눠 이름, 주소, 출생연도, 나이, 신장을 부친의 이름과 함께 적어둔 고문서다.

군적부에 적힌 수군의 출신지는 모두 당진현으로, 당시의 당진 현감 직인과 수결(자필로 서명을 하는 결재 방식)이 확인됐다. 세부 내용을 보면 수군 1인에 보인 1인으로 편성된 체제로 16세기 이후 수군편성 체계를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서다.

안흥량 일대에 주둔했던 수군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던 왜구의 침입을 막고, 유사시에는 한양을 지원하기 위한 후원군 역할을 했다. 특히 수군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우리나라 최고의 험조처(물살이 빠르고 항해가 어려운 바다)인 안흥량 일대를 통행하는 조운선의 사고 방지와 통제를 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군적부의 용도는 작성 형식이나 시기로 미뤄볼 때 수군의 징발보다는 18~19세기 일반적인 군역 부과 방식인 군포를 거둬 모으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충청 수군 군적부는 서산 평신진 수군 군적부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어서 이번에 발견한 자료는 희귀성이 높다. 특히 수군이 주둔했던 현지에서 이름, 나이, 주소, 출생연도 등이 상세히 기재된 문서라서 앞으로의 조선 시대 수군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뉴스1

충남 태안 신진도 고가에서 한시 3편이 발견됐다.(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군적부가 발견된 태안 신진도 고가의 건축연대는 1843년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고가 상량문에 '도광(道光) 23년'(청나라 도광제 선종의 연호)이라는 명문이 적혀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는 판독이 가능한 한시 3편도 함께 발견됐다. 이 시는 당시 조선 수군이거나 학식을 갖춘 당대인이 바닷가를 배경으로 수군진촌의 풍경과 일상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진도 수군진촌에 자리한 능허대 백운정은 예로부터 '능허추월'이라 해 안흥팔경 중의 하나로 알려진 곳이다. 이곳은 중국의 능허대와 모습이 닮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하며, 옛날 중국 사신들이 안흥 앞바다에 체류할 때 이곳을 소능허대라고도 칭했다. 또한 도처의 시객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 시를 짓던 유명한 곳이기도 해, 새로 발견된 한시 3편은 이 지역의 문학적인 맥락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이 유물은 오는 5일 오후 1시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열리는 '태안 안흥진의 역사와 안흥진성' 학술세미나에서 공개된다.
lg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