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제주 유입 중국발 괭생이모자반 수거 골머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동중국해상에서 발견된 괭생이모자반(국립수산과학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이 제주해안에 근래 5년 이내 가장 많은 양이 유입될 것으로 보여 수거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도는 대규모 괭생이모자반이 지난달 초부터 제주 연안에 유입돼 지난달 13일부터 2일까지 총 4005t을 수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2016년 2441t,2018년 2150t,지난해 860t에 비해 적게는 86.3%,많게는 4배 이상 늘어난 양이다.

괭생이모자반 수거량이 가장 많았던 2017년 4407t에 비해서는 400여t 적지만 도는 다음 달까지 괭생이모자반이 더 유입될 것으로 예상돼 올해 유입량이 2017년 당시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 남쪽 외해에서는 최대 직경이 50m인 괭생이모자반 덩어리도 관찰됐다.

도는 지난달 13일부터 2일까지 하루 420여명의 인력과 어선 및 장비를 동원해 괭생이모자반을 수거하고 있다.현재까지 괭생이모자반 수거에 예산 4억원 이상이 투입됐다.

대규모 띠 형태로 이동하는 해조류인 괭생이모자반 덩어리는 선박 스크루에 감겨 조업과 항해에 지장을 초래한다.또 양식장 그물 등에 달라붙어 시설물 파손과 유실 등 피해로도 이어진다.괭생이모자반은 갈조류 일종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폭넓게 분포한다.파도 등에 의해 암반에서 떨어져도 그 가지에 수많은 공기주머니인 기낭이 있어 해류를 따라 서식지로부터 수백㎞까지 이동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중국 전체 연안에 자생하는 괭생이모자반이 바람과 해류를 따라 우리나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