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수업 후 롤 한판?"…학생 몰리는 PC방, QR코드 명부 `사각지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일부터 고위험시설에 QR코드 의무적 도입

8대 고위험시설에서 PC방만 제외…허점 우려

학생 몰리지만…신상 공개될라 수기작성 꺼려

"PC방도 QR코드 도입"…지자체 자체 도입도

[이데일리 공지유 이용성 기자] 쿠팡과 교회 등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이 보이자 정부는 일부 고위험 사업장을 대상으로 QR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전자명부를 통해 관리하기로 했다.

하지만 등교 개학이 시작된 후 학생들이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PC방은 여전히 무방비인 상황이다. 이 때문에 오는 3일 모든 학년의 등교개학을 앞둔 만큼 PC방 내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데일리

서울 용산구 한 PC방에 비치된 수기 명부. 방문객들이 개인정보 공개 우려로 작성을 꺼리고 있다. (사진= 공지유 기자)




◇`수기 명부` 허위 작성·신상 공개 우려, 사실상 무용지물

2일 이데일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시내 PC방 대부분은 직원 부족 등을 이유로 출입 명부 작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용산구의 한 PC방 입구에는 수기로 작성하는 명부와 비접촉 체온계가 놓여 있었지만 이를 안내하고 관리하는 직원이 없었다. 이 때문에 이 점포에 방문하는 손님들은 체온도 재지 않고, 명부 역시 적지 않은 채 컴퓨터 앞에 앉았다.

관악구의 PC방도 마찬가지. 이 PC방에 들어선 기자에게 직원은 명부 작성을 요구하지 않았다. 이를 관리하는 사람마저도 없어 그나마 일부 방문객이 적은 명단도 허위로 적은 것인지 아닌지 구분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대해 PC방을 운영하는 이들은 사실상 명부 관리가 유명무실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대해 토로했다. 용산구에서 PC방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던)3월에는 손님이 거의 없을 때도 있었는데, 등교 개학 이후 학생들이 많이 방문하기 시작했다”며 “명부 작성이 원칙이긴 하지만 혼자 일하다 보면 손님 하나하나 올 때마다 강제로 작성하게 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용객 역시 명부에 적은 정보가 어떻게 새 나갈지 모른다는 우려를 표했다. 명부를 작성한다 하더라도 가짜 정보를 적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동작구에서 만난 김모(27)씨는 “수기 명부는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작성이 꺼려지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1일 오후 성동구의 한 PC방에서 QR코드로 이용객의 방문을 관리하고 있다.(사진=이용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자체 자체 QR코드도입하기도…“업종 확대 검토해야”

정부는 오는 10일부터 8개 고위험업종에 대해 의무적으로 QR코드를 이용한 방문자의 모바일 전자 명부 작성을 실시하기로 했다. △헌팅포차 △감성주점 △유흥주점(클럽·룸살롱 등) △단란주점 △콜라텍 △노래연습장 △실내집단운동시설 △실내 스탠딩 공연장 등이 대상이다.

하지만 수기 명단 관리가 잘 안 되고 여러 사람이 한 장비를 공유하며 사용하는 특성상 PC방 등 업종으로 확대해야 하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달 중순부터 자체적으로 PC방에 QR코드 활용 명부를 도입한 성동구가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 QR코드를 이용해 이용객들을 관리하는 성동구 한 PC방에서는 직원이 입구에서 열 체크를 하고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전자 명부 작성을 확인했다. 이 PC방 단골이라던 정모(23)씨는 “처음에는 귀찮았는데, 익숙해지니 불편하지 않다”면서 “QR코드를 도입하면 개인정보 노출염려도 없고 안심이 된다”고 언급했다.

성동구청 관계자는 “개인정보가 노출될 염려 없고, 명부를 허위 작성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면서 QR코드의 장점을 강조했다.

전문가 역시 QR코드 확대 도입에 적극적으로 동의했다. 김탁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는 “QR코드를 도입해 방문자 관리가 용이하게 되면 고위험시설 뿐만 아니라 다른 업종으로 확대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면서 “일부 지자체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도 순차적으로 도입해서 역학조사가 수월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