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제주 해녀가 발견한 신창리 수중유적 두 번째 발굴조사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국립제주박물관 공동 조사

연합뉴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 제1차 발굴조사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1980년대 초반 제주도 서쪽 신창리 해역에서 해녀가 발견한 수중유적에 대한 제2차 발굴조사가 2일 시작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은 이날 조사 착수를 알리는 개수제(開水祭)와 함께 신창리 해역 수중유적에 대한 공동 발굴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금제 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존재가 알려졌고, 그해 4월 문화재관리국(문화재청 전신)이 금제 장신구 2점을 추가로 발견했으며, 1997년에는 제주대학교박물관이 중국 남송(1127∼1279) 시기 청자 도자기를 확인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18년 수중지표조사를 통해 남송 시기 도자기가 분포하는 구체적인 범위를 파악했으며, 지난해 국립제주박물관과 1차 발굴조사를 시행해 도자기 437점과 인장 2점, 인장함 1점을 발견했다.

연합뉴스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나온 중국 남송 인장과 인장함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확인된 유물은 대부분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 중국 저장성 룽취안요(龍泉窯)에서 생산된 청자들이다. 과거 바닷길을 오가던 국제무역선이 제주 앞바다에서 침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인장 한 점은 글자가 새겨진 면인 인면(印面)에 '삼가 봉한다'는 뜻의 '謹封'(근봉)이 새겨져 있었고, 붉은 인주가 선명하게 남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해저 유물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 연구자료를 확보하면서 도자기를 싣고 있던 선박의 잔해를 찾는 작업이 함께 진행된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