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코로나19는 백신 개발되면 종식? 원활한 공급 없이는 ‘그림의 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백신 후보물질 임상시험은 가속

신종플루 땐 백신 부족해 더 유행

‘공적 백신’ 같은 정부 대책 필요



백신 개발 못잖은 과제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확산세가 둔화하긴 했지만 여파가 언제까지 지속할지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클럽발 확산’ 같은 재확산의 방아쇠는 곳곳에 존재한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 전망과 함께 2차 팬데믹을 경고하는 메시지도 나오고 있다. 자연히 사회적 관심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쏠리고 있다.

사실 백신은 팬데믹 직후 한때 코로나19의 조기 종식 방안으로 거론됐던 ‘집단 면역(Herd Immunity)’의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정한 코로나19의 환자 한 명당 2차 감염 유발 인원(2.5명)을 적용하면 인구의 60%가 감염되거나 면역성을 가져야 집단 면역을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약 3000만 명, 세계적으로는 45억 명에 달한다. 감염을 통해서는 안전, 사회적 손실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추진이 불가능하지만 백신이라면 가능하다. 현재로선 백신 접종이 코로나19 종식의 유일한 대안으로 꼽힌다.

세계적으로 78개 백신 개발 중

다행히 백신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WHO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78개의 백신(지난 4월 기준)이 공식 개발 중이다. 이 중 미국 바이오 기업인 모더나는 최근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45명 전원의 항체 형성에 성공했다. 이외에도 미국·중국·독일·영국 등의 연구소 및 기업 7곳이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들도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제넥신·GC녹십자 등이 백신 개발에 뛰어들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은 곳은 아직 없지만, 임상시험 돌입이 임박한 상황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경우 지난달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찾는 데 성공하고 본격적인 비임상시험(동물실험)에 돌입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항원을 여러 형태의 단백질 배양과 정제 플랫폼을 거쳐 백신 후보물질을 확보했다. 확보한 백신 후보물질은 바이러스의 일부만 포함한 항원인 서브 유닛 형태인 만큼 다른 백신에 비해 안전성이 높은 편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비임상시험을 완료한 뒤 오는 9월에는 임상시험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기존 백신 개발로 축적된 노하우와 합성 항원 제작 기술을 확보한 만큼 안전성과 유효성을 갖춘 코로나19 백신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는다. 제넥신도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X-19’에 대한 원숭이 대상 동물실험을 완료하고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백신 개발이 끝은 아니다. 백신이 있어도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백신의 원활한 공급은 개발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실제로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H1N1·신종플루)가 발생하고 백신 부족 사태가 벌어진 바 있다.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팬데믹이 왔을 때 가장 필요한 것은 백신”이라며 “신종플루가 유행하기 전부터 인구 대비 20%에 해당하는 약 1000만 명분의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를 비축해 둬야 한다고 했지만 공급이 제대로 안 되면서 퍼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백신 부족 사태는 우선 다국적 제약사 백신의 경우 해당 제약사가 자국 공급을 우선해 수출 물량을 줄이면서 발생한다.

경제 논리도 작용한다. 개발 비용을 지원한 기업이나 국가가 우선권을 주장해 선점할 수도 있다.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백신 주권’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공급사 재고 손실 걱정 덜어줘야

하지만 국내에서 개발한다고 백신 부족 사태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감염병 유행 시 제약사 등 공급사는 환자가 접종하는 백신을 의료기관에 납품한다. 의료기관은 환자에게 접종한 백신에 대한 비용을 국가에 청구해 보전받는다. 공급사는 그 후 백신에 대한 비용을 정산받는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공공재가 국가가 직접 공급 물량을 확보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즉 민간기업이 자체적으로 수요를 예측해 확보해야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공급사는 재고라는 손실을 떠안지 않으려다 보니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향후 코로나19 백신 개발 이후를 대비해 정부가 백신 공급량을 책임지는 구조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공적 마스크가 좋은 예로 꼽힌다. 마스크 부족 사태 직후 조달청은 마스크 제조사와 계약을 통해 공적 마스크 물량을 확보·매입해 공급한 바 있다.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