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쏘카, 라이드플럭스와 제주서 자율주행 셔틀 첫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쏘카-라이드플럭스 자율주행 셔틀 차량 [사진제공 = 쏘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쏘카(대표 박재욱)가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대표 박중희)와 제주에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처음 선보인다.

양사는 18일부터 제주공항과 쏘카스테이션 제주 구간을 오가는 자율주행 셔틀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는 국내 최초로 민간이 주도하는 승객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다. 교통 통제 속 단기로 진행되는 기존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와 달리 차량이 혼잡하게 운행되는 도로에서 실제 이동 수요가 있는 승객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자율주행 셔틀은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쏘카스테이션 제주 방문객을 대상으로 무료로 운영된다. 왕복 거리는 약 5km다. 신청은 제주공항 렌터카하우스에 위치한 쏘카 셔틀버스 탑승 구역과 쏘카스테이션 셔틀버스 옆 주차구역에 비치된 QR코드 접속을 통해 할 수 있다. 탑승 인원은 최대 2인까지며, 차량에는 전문 교육을 받은 세이프티 드라이버(Safety Driver)가 안전을 위해 동승한다.

라이드플럭스는 지난 11월부터 약 6개월간 시험 주행을 실시해 기술의 완성도와 안전성 검증을 마쳤다. 이 기간 운영 구간 내 총 1600여회, 8000여분 이상 시범 주행을 거쳤다. 지난 12일 기준 누적 순수 자율주행 시간은 8163분이며, 반경 50m 이내 차량이 10대 이상 존재한 도로 상황에서 누적 운행 시간은 3881분에 이른다.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이면도로 합류 구간 통과 횟수는 3만2000회를 웃돈다.

라이드플럭스는 교통문제 해결 필요성과 다양한 교통환경을 가진 지역 특성을 고려해 제주를 테스트 베드로 선정했다. 높은 렌터카 사고율, 차량 과밀에 따른 교통정체 및 주차난 등 문제를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적한 도로부터 복잡한 도심까지 다양한 교통 환경이 공존하고, C-ITS인프라, 위성 기준국 등 우수한 자율주행 환경을 통한 기술 안전성 확보 및 확장성에 주목했다. 이번 시범 서비스 운행 구간은 교통 혼잡도가 매우 높은 시내 구간이다. 차선 변경과 유턴, 교차로가 반복돼 높은 완성도의 자율주행 기술이 필요하다.

박중희 라이드플럭스 대표는 "라이드플럭스의 목표는 완전자율주행을 통해 더 안전하고 쾌적한 이동수단의 혁신을 만드는 것으로, 이번 시범 서비스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며 "시범 서비스 운영 경험과 연구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연내 운행 지역을 제주 전역 주요 도로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위현종 쏘카 전략본부장은 "국내에서도 자율주행 기술과 모빌리티 플랫폼 간 융합이 핵심인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쏘카는 지속적으로 기술 기업과 협업해 안전하고 스마트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대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