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로봇이 온다

만도 자율주행 순찰로봇 '골리', ICT 규제 샌드박스 통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만도의 자율주행 순찰 로봇 ‘골리(Goalie)’ 시연 모습./제공=만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상원 기자 = 만도의 자율주행 순찰 로봇 ‘골리(Goalie)’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과했다.

만도는 13일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위원장) 주관으로 실시된 제9차 ICT 규제 샌드박스 심의위원회에서 자사의 ‘시흥시 배곧신도시 생명공원 순찰 로봇 시범운영 방안’이 통과 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만도는 오는 7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의 시범운영 기간 동안 관련 규제의 유예 조치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만도의 자율주행 순찰 로봇 골리는 오는 7월부터 시흥시 배곧신도시에 위치한 20만평 규모의 생명공원에서 첫 순찰을 시작한다. 아이스하키 골키퍼 포지션에서 이름을 딴 골리의 임무는 감시다. 골리에는 두개의 자율주행용 라이다와 보안용 감시 카메라가 탑재돼 있다.

설계에서 볼 수 있듯이 골리는 자율주행을 하는 보안관이다. 앞으로 골리는 생명공원 산책로를 정찰하며 CCTV의 사각지대나 보안 취약 지점을 집중 감시하게 된다. 감시 카메라의 영상은 시흥시 통합 관제 플랫폼으로 실시간 전송되는데 이를 통해 관제센터는 야간 취약 시간의 순찰 공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골리 외형은 듬직해서 눈에 잘 띈다. 공원을 순회하는 순찰 로봇의 모습은 시민들의 안전 체감도를 높이고 범죄 및 각종사고 발생률도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규사업추진조직인 운곡캠퍼스를 책임지고 있는 오창훈 부사장은 “만도가 그 동안 세계적 자동차 부품전문기업으로서 축적한 첨단 기술과 경험들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순찰 로봇 시범 운영을 통해 로보틱스와 자율주행 기술을 융·복합해 우리 사회 여러 곳에서 만도가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미래 신규비즈니스에 대한 자신감을 밝혔다.

연말에 골리는 AI로봇으로 재탄생한다. 7월부터 12월 초까지 축적될 빅데이터는 새로운 비전알고리즘을 통해 골리의 사물 환경 인식 수준을 지금 보다 몇 십 배 더 올려 놓을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보안 관련 인공지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만도는 지난해 미래 준비를 위한 신규사업 추진 조직 운곡캠퍼스를 발족해 미래를 책임질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운곡캠퍼스 산하의 ‘F3 랩’은 자율주행 로봇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래의 교통수단을 고려한 모빌리티 서비스 등을 개발 중이다. 만도는 순찰 로봇 ‘골리’의 론칭을 시작으로 충전 로봇, 주차 로봇 등 미래 스마트 시티 문화에 적합한 자율주행 기반의 로봇을 개발할 계획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