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범사업자로 서울대 산학협력단 선정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국토교통부는 자율차 기반의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민간기업 등을 지원하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시범사업자로 서울대 산학협력단이 주관하는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데일리

이번 공모사업은 자율차 기반의 모빌리티 프로젝트에 대해 2년간 60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국민 체감형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민간 사업자들에게 자율주행 실증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공모에는 총 5개의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추첨을 통해 7명의 외부 전문가 및 1명의 국토부 공무원이 평가위원으로 선정돼 사업모델의 혁신성, 서비스에 적용되는 기술의 실현가능성 등 다양한 지표를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평가했다.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서울대학교 컨소시엄은 오이도역에서 시흥 배곧신도시 구간을 배경으로 하는 수요응답형 심야 안전귀가 셔틀 서비스를 무상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심야 자율주행 서비스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혁신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업시행자로 선정된 기관은 보조금을 통해 자율차를 제작하고 서비스 지역에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해 사업을 운영한다.

사업기간 동안 5대 내외의 Lv.3 자율차(아이오닉, 쏠라티 등)가 투입되며, 돌발상황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요원 탑승 하에 운행된다.

국토부와 서울대 컨소시엄 간 사업계획 협약 체결이 이뤄지면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돼 자율차 제작 및 인프라 구축(5월~10월)에 돌입할 예정이며 올 4분기 내에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개시할 전망이다.

김상석 자동차관리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자율차 상용화 시대를 피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자율주행 정책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