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예타 통과…1조원 투입, 미래차 선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 기술 개발 목표

헤럴드경제

지난해 11월 서울 마포구 상암문화광장 일원에서 열린 '서울 스마트 모빌리티 엑스포' 모습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민상식 기자] 정부가 7년간 1조여원을 투입해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로 대표되는 미래차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친환경차 분야 연구개발(R&D)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데 이어 자율주행차 분야도 이번에 승인되면서 미래차에 대한 중장기 종합개발 전략과 빅3 산업(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의 지원 방향이 모두 확정됐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10월 수립한 '미래자동차 발전 전략'을 이행하고자 산업부가 주도해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 것으로 2021∼2027년 총사업비는 1조974억원이다.

사업은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차의 기반을 완성하기 위해 ▷차량 융합 신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 창출 ▷생태계 구축 등 5개 분야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자율주행 레벨 4는 차량 주행 때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경로를 설정해 운행하는 단계다. 여기에 차량-클라우드-도로교통 등 인프라와 사회적 현안 해결용 융합 서비스를 아우른 것이 융합형 레벨4이다.

우선 사고 발생 제로(0)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영상 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차량 부품·시스템의 평가기술 등 차량 융합 신기술을 개발한다.

또 자율주행의 안전을 강화하고 지능을 고도화하는 차량-엣지-클라우드 구조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차량 통신·보안,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등 ICT 융합 신기술을 만든다.

도로나 교통안전시설 등의 교통인프라 정보와 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해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하는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도 개발 대상이다.

대중교통 자율주행 신산업 창출과 교통약자 이동지원과 같은 사회적 현안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통해 해소한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생태계 기반을 완성하기 위해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과 표준화 기반 확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법·제도를 개선한다.

자율주행기술은 자동차 산업의 지능화·서비스화 등의 혁신적인 변화와 함께 교통사고 해소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현재는 주행차선 이탈 방지, 차량 간격 유지 등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해주는 레벨2 수준의 차량이 양산되고 있으며, 각국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차량 스스로 상황을 인지·판단해 주행하는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 기술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정부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부처 간 기획, 예산, 집행 등 전 단계에서 칸막이가 없는 협업을 강화하는 '부처 매칭형 신(新)협력모델'을 적용하기로 했다.

자율차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 개발, 인프라, 실증, 서비스뿐만 아니라 표준화, 법·제도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 패키지형 지원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 범부처 협의체를 상시화하고 효율적인 사업 통합 관리를 위한 '자율주행 융합사업단(가칭)'을 설립·운영할 예정이다.

ms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