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재산공개]유은혜 부총리 2억6천만원…후원금 2천만원 줄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육부 1급 이상 평균 15억…소속·산하기관장 16억

뉴스1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왼쪽)과 박백범 교육부 차관(오른쪽)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교육부 장·차관과 1급 이상 고위공무원의 재산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1급 이상 고위공무원과 소속·산하기관장의 평균재산은 16억원가량이었다.

2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0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유은혜 부총리는 본인과 배우자, 아들과 딸의 명의로 총 2억642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전년보다 146만원 늘어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년에 비해 예금이 1040만원 늘고 급여 등으로 상환하면서 채무는 1666만원 감소했다. 정치자금법에 의한 후원금 계좌의 예금액은 1억4423만원으로 전년보다 2259만원 감소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전년보다 2억7803만원 증가한 14억2095만원을 신고했다. 공시지가 변동을 제외하면 전년보다 재산신고액이 1억269만원 증가했다.

교육부 1급 이상 고위공무원 중에서는 서유미 차관보의 재산이 28억9066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보다 2억3121만원 늘었다. 전년보다 예금이 3억4931만원 증가했다. 김규태 고등교육정책실장도 전년보다 1억2848만원 증가한 27억2337만원을 신고했다.

교육부 1급 이상 고위공무원 7명의 평균재산은 15억2834만원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내 1급 자리는 차관보, 기획조정실장, 고등교육정책실장, 학교정책실장 등 네 자리가 있다. 여기에 교육부 1급 출신이 가는 교원소청심사위원장과 중앙교육연수원장, 정무직인 차관을 포함했다. 7명 모두 신고한 재산이 전년보다 평균 1억5032만원 늘었다.

김성근 학교정책실장의 재산이 6억6912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학교정책실장은 교육부 내부 직원이 아니라 전문직 출신 외부인사가 맡는다. 학교정책실장을 제외한 순수 교육부 출신 고위공무원 6명의 평균재산은 16억7155만원이었다.

교육부 소속·산하기관장 8명은 평균 15억9959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지난해 4월 취임한 박혜자 한국교육학술원장이 가장 많은 24억957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 1위였던 김도형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은 23억9981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4억1676만원 늘었지만 박 이사장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고려대 교수 출신인 조광 국사편찬위원장이 가장 적은 6억646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뉴스1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jinn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