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4 (금)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북·미 '친서 정치'에 靑 '전략적 침묵'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위기대응 계기로 친서 정치…상황 관리에 무게 싣는 남·북·미 정상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김동표 기자] 청와대가 북한과 미국의 '친서(親書) 정치'에 공식 언급을 자제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한반도 상황 변화와 관련한 '긍정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국제적인 악재가 한반도 교착 상태를 해결하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시선이다.


22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공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친서는 전달 시점과 내용 모두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김 제1부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에서 북미 관계를 추동하기 위한 구상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특히 김 제1부부장은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북측과 협조할 의향도 표시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태스크포스 기자회견에서 '북한에 코로나19와 관련한 협력 의사를 담은 친서를 보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 그들이 원한다면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울러 김 제1부부장이 밝힌 "특별하고도 굳건한 친분"이라는 표현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신뢰'가 무너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 교환으로 확인된 한반도 상황 관리에대한 인식의 연장선이다. 지난해 6월 판문점 깜짝 정상회동 이후 교착 국면에 갇혔던 남·북·미가 코로나19를 토대로 신뢰의 연결고리를 재확인한 셈이다.


청와대는 북·미 친서 정치와 관련해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무관심보다는 '전략적 침묵'에 가깝다. 다른 나라 정상 간 친서에 공식 언급을 하지 않는 게 외교적인 관례라고 하지만 이를 액면 그대로 해석할 수는 없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북한이 연이어 발사체를 쏘는 등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을 하는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전달은 그 자체로 긴장 완화의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북·미 친서 정치가 당장 한반도 상황의 극적인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제1부부장도 북·미관계를 두 정상 간 개인적 친분에 따라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변수는 코로나19와 관련한 공조다. 미국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명분으로 북한 지원에 힘을 싣는다면 상황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질 수 있다.


청와대는 북한에 대한 코로나19 방역 지원 문제에 말을 아끼고 있다. 인도적인 차원에서의 지원에 공감하더라도 실행에 옮길 경우 정치·외교적인 해석의 영역으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친서 외교를 통해 한반도 상황 관리에 나선 남·북·미 정상이 코로나19를 계기로 정세 변화의 동력을 확보할 것인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