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매출 50만원→한달 매출 20만원” 토로
소상공인 대출·착한 임대인 운동 실효성 의문
“업종 세분화시켜 보조금 등 지원책 검토해야”
지난 19일 오전 대전 동구 중앙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여전히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 심리는 좀처럼 회복 되지 않아, 소상공인들의 손실이 눈덩어리처럼 불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박지영 수습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커진 가운데, 이제 막 첫발을 내딛은 청년 사업가들은 더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창업 비용을 회수하기도 전에 불황이 들이닥친 데다 단골 손님도 없어 하루를 공치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보다 세분화된 청년 자영업자 관련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23일 헤럴드경제 취재에 따르면 다양한 업종의 청년 자영업자들은 부족한 자금 탓에 코로나19가 잠잠해지고 소비가 회복될 때까지 사업을 이어 갈 수 있을지 근심하고 있다.
올 초 경기 평택에 복싱체육관을 연 윤모(34) 씨는 최근 인근 물류센터에서 택배 상하차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지고 있는 데다 다중이용시설에서 감염 우려가 높아지면서 수입이 급감한 탓이다. 여기에 정부는 지난 21일 2주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을 설정, 실내 체육 시설 이용 중단을 강력히 권고한 상태다. 윤 씨는 “1월에는 하루 매출이 50만원에 달하기도 했지만, 2월 한 달 매출은 20만원에 그쳤다”면서 “문의가 뚝 끊기고 기존에 다니던 고객마저 줄줄이 환불을 요청하는 상황”이라고 쓴웃음을 지었다.
코로나19에 따른 소상공인 대출을 고려하고 있지만, 이마저 ‘독이 든 사과’가 될 수 있다는 걱정이 앞선다. 윤 씨는 “대출이 무상 제공은 아니지 않나. 체육관을 창업할 때에도 대출 받아서 쓴 게 있는데, 또 다른 대출을 받아서 빚을 늘리는 게 과연 옳겠느냐는 고민이 든다”고 했다. 이어 “나라에서 내놓은 방안이 대출밖에 없다. 수입이 거의 없어서 신용카드도 연체됐는데, 이처럼 대출마저도 힘든 사람이 많다는 점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5개월 전 서울 은평구에 안경점을 낸 유모(35) 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달 들어 일주일에 이틀꼴로 매출이 ‘0원’이다. 매출은 곤두박질쳤지만 월세, 전기세 등 가게를 유지하는 데 들어가는 고정 비용은 여전하다. 유 씨는 “3월 개학 시즌을 맞아 물건을 잔뜩 들여놨는데, 개학이 미뤄져 타격이 크다”며 “가게 유지는커녕 물건 대금을 지급하기도 빠듯하다. 카드 대금 유예를 위해 카드사에 전화했지만, 필요한 서류를 챙기다 결제일이 다가왔다”며 허탈해했다. 갑작스레 얼어붙은 경기에 미처 대비할 틈이 없었던 셈이다.
유 씨 역시 소상공인 대출은 물론 ‘착한 임대인 운동’의 실효성에도 의문을 표했다. 그는 “언론 보도를 보고 기대했지만 건물주는 별다른 말이 없다.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먼저 건의하기도 힘들다”며 “대출도 고려해봤지만 절차가 까다롭고 돈 나오는데도 시간이 걸려 급한 불 끄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22개월 된 아이한테 장난감 하나 못 사 줬다”며 “주변에 회사 다니는 친구들도 택배나 대리운전 기사등 ‘투잡’ 뛰는 친구들이 많다. 나 역시 재택 알바라도 해야 하나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힙합 프로듀서로, 관련 ‘꿈나무’를 위한 스타트업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이모(27) 씨도 한숨을 내쉬었다. 이 씨는 “평소 레슨 문의가 한 달에 20개 정도는 들어왔지만, 지난달부터 반토막이 났다”며 “이달엔 예약됐던 건도 다 취소됐다. 고정 비용을 감안하면 월 100만~200만원 손해는 각오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업계 자체가 위축되다보니까 관련 알바 자리부터 줄어들고 있다. 음악 하던 한 친구는 알바가 안 구해지니까, 결국에는 택배 상하차 하러 갔다”며 “당장보다도 불안한 미래가 더 문제다”라고 덧붙였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정부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을 지원해 주고 있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 자영업자 중에서도 생계형 자영업자를 선별해 기존에 시행하지 않은 보조금 같은 형태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단,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매장을 집중 지원해야 하며, 외식업 중에서도 배달 전문은 타격을 덜 받는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youknow@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