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강헌의 히스토리 인 팝스] [3] 전쟁이 가져다준 이별의 슬픔 ‘Danny Boy’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가 지구촌을 공포로 몰아간다. 인간의 근본 욕망이 식욕과 성욕, 그리고 재앙으로부터의 안정 욕구라고 전제한다면 생명을 빼앗기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으며, 제대로 된 격식도 갖추지 못하고 떠나보내야 하는 슬픔은 무엇과도 비길 수 없을 것이다.

인류 역사상 유행성 질병과 전쟁은 인간의 안정 욕구를 파괴하는 2대 재앙이다. 질병이 천재(天災)라면 전쟁은 인재(人災)에 더 가까우니 감정적인 원한은 후자가 더 클 수밖에 없겠다.

조선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일까. 전쟁과 관련한, 전쟁이 낳은 노래는 민족상잔을 겪은 우리나라는 물론 지구상에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중 20세기를 울린 전쟁 노래의 백미 중 하나로 'Danny Boy'를 지목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일찍이 우리나라에도 상륙하여 '아 목동아'를 제목으로 테너 현제명이 녹음하기도 했고, 이 곡의 멜로디를 색소폰으로 연주한 실 오스틴의 재즈는 한국전쟁 직후의 한반도를 강타했다. 아일랜드의 테너 존 매코맥의 가창부터 스탠더드팝의 대표 주자인 빙 크로스비와 앤디 윌리엄스, 나아가 자메이카 출신 칼립소 가수 해리 벨라폰테와 로큰롤의 왕 엘비스 프레슬리까지 이 곡을 부른 가수는 셀 수조차 없다. 이 노래는 오랫동안 대영제국과 피비린내 나는 독립 투쟁의 역사를 지닌 북아일랜드 지방의 민요 'Londonderry Air'에서 출발했다. 이 곡이 채집되던 19세기 중반 이래 보통 3개의 가사 버전이 통용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영국의 변호사이자 작사가인 프레더릭 웨덜리의 노랫말이 'Danny Boy'를 대표한다. 전쟁터로 끌려나가 결국 돌아오지 못할 아들을 그리워하는 애끓는 부모의 정을 담은 이 노랫말은 전 세계 부모들의 마음을 처절하게 대변한다.

"여름은 갔고 장미들도 시드는데/ 이제 너는 떠나야만 하고/ 우리는 남아 널 기다린다…."

수많은 가창 버전 중에서 카네기홀 라이브 버전인 해리 벨라폰테의 무반주 가창 버전을 추천한다. 피부색을 떠나 힘없는 밑바닥 계층의 부성을 공감할 수 있는 실로 처절하고 아름다운 가창이다.

[강헌 음악평론가]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