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추가경정예산 편성

‘6.2조원+α’ 코로나 추경에 관리재정적자 비율 IMF 외환위기후 최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관리재정수지 적자 71.5조원, 경상 GDP 전망치의 3.6%

코로나 추경 최소 규모 더할경우, 3.9% 확대

헤럴드경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파급영향 최소화 등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정부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해 6조2000억원 이상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기로 하면서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대표적 재정 건전성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후폭풍이 거셌던 1998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 4대 보장성 기금의 수지를 제외한 수치로, 정부의 순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다.

1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회를 통과한 2020년 예산안 기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71조5000억원으로 올해 정부의 경상 GDP 전망치의 3.6%에 달한다.

정부가 예산안 국회 통과 후 2020년 경상 GDP 전망치를 3.8%에서 3.4%로 낮추면서 2020년 경상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이 3.5%에서 3.6%로 바뀌었다.

적자 규모에 정부가 코로나19 추경 최소 규모로 제시한 6조2000억원을 더하면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3.9%로 확대된다.

여기에 세입 경정분(예상되는 세입 부족 보완분)까지 더할 경우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4.0%를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이런 비율은 외환위기 후폭풍이 거셌던 1998년(-4.7%) 이후 최대를 기록하게 된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이 3%를 넘어선 적은 1998년과 1999년(3.5%),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3.6%) 세 차례에 불과하다.

2020년 예산안 기준 국가채무는 805조2000억원으로, 올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0.6%로 40%를 넘어선다. 예산안 국회 통과 당시에는 39.8%였지만 경상 GDP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조정돼 40.6%로 바뀐 것이다.

국가채무에 추경 최소 규모를 더하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1%까지 올라가게 된다. 재정당국은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0%,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3.0%가 마지노선으로 봐왔다.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 3.0% 이내는 유럽연합(EU)의 재정준칙이기도 하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8일 브리핑에서 "(추경 시)국가채무가 늘어날 수 있는데, 국가채무가 늘어도 대책이 긴요하다고 판단한다면, 부분적으로 적자국채를 발행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추경예산 편성에 따라 정부의 2023년까지 국가재정운용계획 이행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2019∼2023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2023년까지 GDP 대비 -3% 중반 수준에서 관리하고 국가채무비율은 2021년에 GDP 대비 40%대에 도달한 이후 2023년까지 GDP 대비 40% 중반 수준 이내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혔었다.

정부는 이와 관련, 올해 하반기에 한국적 상황에 맞는 유연한 재정준칙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다. 급격한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재정압박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해 재정준칙 도입의 토대가 될 2065년까지의 장기재정전망에 착수한 바 있다.

oskymo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