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4D 이미징 센서, 자율주행차 '눈' 밝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민하 기자] [스타트UP 스토리] 류준수 비트센싱 부대표…4D 이미지 레이더 개발

머니투데이

류준수 비트센싱 부대표가 여러 레이더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민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악천후 속에 자율주행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 자율주행차에는 낮과 밤, 눈, 폭우, 안개, 황사 등 주변 여건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차선과 장애물을 볼 수 있는 센서가 필수다.

2018년 설립된 '비트센싱'은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하는 최첨단 레이더 센서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이다. 류준수 비트센싱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부대표(사진)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만나 "어떤 외부 환경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더의 장점을 활용해 완전한 자율주행을 실현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전파를 이용하는 레이더 센서는 영상촬영용 '카메라', 레이저 빛을 이용한 '라이다'와 함께 자율주행차 3대 핵심센서로 꼽힌다. 레이더는 외부환경 변화에 안정적이지만, 물체의 윤곽 이상은 인식하는 게 어려웠다. 반면 카메라와 라이다는 정확한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반면 날씨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성능 편차가 크고 가격이 비싸다.

비트센싱의 '에어 레이더'는 기존 센서들의 단점을 보완한 고성능 4차원(D) 이미징 센서다. 레이더와 카메라를 결합했다. 자체 개발해 특허 등록·출원 중인 레이더 원천기술만 32건이다. 류 부대표는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레이더의 장점과 영상 카메라를 결합해 빈틈없는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머니투데이



스마트시티·헬스케어 사업영역 확대

비트센싱은 레이더 기술을 자율주행차 외에 스마트시티와 헬스케어 영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올해는 사업다각화와 부문별 상용화에 집중한다는 목표다. 현재 차량검지장치인 '24GHz 트래픽 레이더'와 사람의 호흡·심박수를 감지하는 '60GHz 초소형 레이더'를 개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트래픽 레이더는 실시간 교통데이터를 수집하고 사고상황 등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도로 구간 300m 안에 있는 차량 128대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교통량, 속도, 점유율 등의 정확도는 98% 수준이다. 이미 세종시와 경기도 성남 판교에 30여대 설치·운영 중이다. 베트남 3개 도시에도 수출할 예정이다. 류 부대표는 "레이더로 수집한 도시 교통데이터를 관리, 분석하는 것은 물론 실시간으로 고해상도 지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헬스케어 레이더는 연내 상용 제품을 내놓을 예정이다. 차안이나 방안에 있는 사람의 동작부터 호흡·심박수까지 파악할 수 있다. 류 부대표는 "올해는 미래형 자동차와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분야에 맞는 상용 제품까지 선보일 것"이라며 "국내뿐 아니라 북미, 중동, 동남아 등 해외시장 진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민하 기자 minhari@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