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총선 이모저모

휴대전화 ‘가상번호 여론조사’ 첫 활용…총선 표심 잡아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거법 개정으로 4월 총선부터

임의 전화번호로 바꿔 여론조사

‘오보’ 잇따르던 4년전 총선과 달리

“표본 대표성·정확도 향상 기대”

지역구는 조사 범위 좁아 표본 한계

‘샤이 유권자’ 선택 포착 여부도 변수


한겨레

4·15 총선 대진표가 윤곽을 드러내면서 여론조사기관의 후보 지지율 조사도 본격화하고 있다. 과거 총선 때는 여론조사 결과가 실제 결과와 차이가 커 조사기관들의 신뢰도가 도마 위에 올랐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조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정확도가 얼마나 높아질지 관심이 모인다.

■ 가상번호, 여론조사 정확도 높일까

현행 공직선거법은 보도·공표 목적 여론조사의 경우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만약 서울 종로구 유권자 500명에게 여론조사를 한다면, 조사기관은 통신사에서 성별·연령별 정보가 담긴 종로구 유권자의 휴대전화 번호를 1만5000개까지 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사는 ‘010’으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를 ‘050’으로 시작하는 임의의 번호(가상번호)로 바꿔 제공한다. 휴대전화 가상번호로 여론조사를 하면 집전화가 없는 젊은 층이나 집을 비우는 직장인들의 응답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일원 리서치뷰 대표는 “가상번호 도입으로 표본의 대표성이 대폭 확대됐다. 정확도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쓸 수 없었던 4년 전 총선 때 여론조사는 ‘오보’를 양산했다. 공표 마지막 날 발표된 여론조사치와 실제 득표율의 차이가 10%포인트를 넘나드는 후보가 허다했다. 결국 국회는 2017년 2월 선거법을 개정해 보도나 공표 목적의 여론조사에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부정확한 조사 결과가 공표되는 것 자체가 유권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쳐 표심을 왜곡한다는 우려가 높았기 때문이다.

가상번호 여론조사의 정확성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 일부 확인됐다. <한국방송> <문화방송> <에스비에스>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칸타퍼블릭, 코리아리서치센터,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018년 6월 2~5일 실시해 6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민주당 후보들은 총 전국 광역단체 선거구 17곳 중에 14곳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일주일 뒤 한 지방선거 결과와 같았다.

■ 가상번호, 만능열쇠는 아니야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다고 해서 총선 여론조사가 정확할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무엇보다 조사지역이 좁다는 데서 오는 위험성이 있다. 광역단체장 당선자 예측조사가 주를 이룬 지방선거 여론조사와 달리, 국회의원 지역구 여론조사는 도시 지역의 경우 기초단체보다 규모가 작은 선거구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통신사에서 주는 정보는 성별·연령별 정보가 전부다. 세분화된 특성별로 임의로 추출된 표본이 필요한데 작은 지역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했다.

야당 지지 성향을 숨기는 ‘샤이 유권자’의 표심을 잡아낼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다.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여론조사는 민주당 소속의 김경수 경남도지사 후보가 김태호 한국당 후보를 20%포인트 이상 큰 차이로 이길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9%포인트 격차에 그쳤다.

권순정 전 리얼미터 조사분석본부장은 “2018년 지방선거 때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의 경우 민주당 득표율을 실제보다 6%포인트 정도 과대 표집했고, 전화면접 조사는 12%포인트 정도 과대 표집했다. 보수층이 결집하고 있어 그때만큼은 아니겠지만, 자동응답시스템 조사 기준으로 2~3%포인트 정도의 ‘샤이 야당표’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네이버에서 한겨레 구독하기
▶신문 보는 당신은 핵인싸!▶조금 삐딱한 뉴스 B딱!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