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명절이면 어김없이… 반갑지 않은 손님 ‘전염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2011년 당시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지자체들이 고향방문을 자제해달라는 요청이 잇따랐던 가운데 충남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정광웅(72), 지부강(70)씨 부부가 도시에 거주하는 자녀 집을 방문하기 앞서 기르는 소와 인사하고 있다. 금산=김주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인천공항공사 시설환경팀 관계자들이 21일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영종도=이한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지난달 29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에서 질병관리본부 국립검역소 직원들이 열화상 카메라로 중국 공항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에 도착한 승객들의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영종도=고영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확산 우려가 국내에서도 커지는 가운데 설 연휴가 시작됐다. 사람과 사람간 전염이 가능한 데다 연휴 기간 ‘민족의 대이동’이 벌어지는 만큼 보건당국은 24시간 비상방역체계 가동에 들어갔다.

특히, 해외 여행객이 드나드는 공항과 항구 등에선 이미 연휴 전부터 방역과의 전쟁이 시작됐다. 중국이 춘절 연휴 시작(24일) 전 바이러스의 발원지인 우한시에 대해 사실상 ‘봉쇄령’을 내렸지만 이미 이전에 빠져 나온 잠재적 감염자가 국내에 입국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 인천공항 국립검역소 소속 검역관들은 입국장에 설치된 열화상 화면을 통해 쏟아져 들어 오는 여행객들의 체온을 일일이 확인하느라 눈이 빠질 지경이고, 입국심사대로 이어지는 긴 통로에선 인천공항공사의 방역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명절 연휴를 앞두고 터진 전염병 사태로 인해 보건 및 방역 당국이 진땀을 뺀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당장 지난해 1월 대구ㆍ경북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갑작스럽게 홍역 환자가 폭증하며 보건당국마저 ‘홍역’을 치렀다. 첫 확산은 설 연휴를 한 달여 정도 앞두고 일어났으나 해외 거주민들이 설을 쇠기 위해 귀국하면서 추가 유입이 발생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지난 2019년 1월 대구 파티마병원을 찾은 환자들이 입구에서 홍역환자 선별진료를 안내하는 홍보문구를 읽고 있다. 이 병원에서 일하던 30대 중반의 간호사가 홍역 확정판정을 받아 격리조치되면서 올 초 병원을 찾은 환자와 시민, 의료진의 전염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지난 2018년 설 연휴를 일주일 가량 앞두고 대한항공 인천 정비 격납고에서 관계자들이 메르스 예방을 위해 두바이에서 출발해 인천으로 도착한 대한항공 항공기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영종도=서재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지난 2016년 설 연휴 직전 정부서울청사 국민안전처에서 열린 지카바이러스 발생 대비 관계기관 점검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지카바이러스 국내 유입 차단 대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8년 가을에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했다. 역대 최악의 전염병 사태로 전 국민이 공포에 떤 지 3년만의 일이었다. 당시 환자가 확진 전 수백 명과 접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악몽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컸다. 다행히 추석을 일주일 앞두고 확진자는 완치 판정을 받았으나 연휴 첫 날 메르스 의심환자가 입국하는 등 당시 보건 당국은 연휴 내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했다.

2016년 설 때는 연휴 시작 5일 전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카바이러스’에 대해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지카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국내에는 전파되지 않은 상황이었던 만큼 메르스에 비해 파장은 적었다. 그러나 보건 당국으로선 연휴를 앞둔 전염병의 발병 소식에 비상 근무 체계를 가동해야 했다.
한국일보

2011년 당시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로 관람이 중단됐다가 설을 일주일 앞두고 재개장한 과천 서울대공원 동물원 입구에서 관람객들이 방역터널을 통과하고 있다. 배우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 전파되는 전염병도 문제지만 역대 명절 기간 구제역과 같은 동물 전염병이 창궐한 경우 충격과 후유증이 훨씬 컸다.

전국적으로 최악의 구제역 사태가 일어난 2011년 설 연휴 즈음에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조류독감(AI)까지 터져 방역 당국은 물론 지자체와 축산 농가 등에 비상이 걸렸다. 당시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고향집이나 이웃의 축사 방문은 물론이고 아예 귀성 자체를 미루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농촌에 거주하는 부모들이 서울로 올라오는 ‘역귀성’ 현상도 두드러지게 늘었다.

지난해에도 설 연휴 직전 구제역 확진 농가가 나왔고, 2009년과 2014년에는 조류독감이 전국을 강타했다.

이한호 기자 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지난 2019년 설을 일주일 앞두고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 안성 금광면 소재 한 젖소 농가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살처분 후 정리 작업을 하고 있다. 배우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지난 2014년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막기 위해 경기, 충청지역에 일시 이동중지 명령이 내려진 가운데 설 전날인 27일 철새 도래지 경기 안산시 시화호 갈대습지공원 일대에서 헬기를 이용한 항공방제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안산=김주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