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윤종원 "대화하자" 노조 "당정청 나와라"…꼬인 기업은행 사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종원 신임 IBK기업은행장이 취임 18일 차를 맞은 오늘(20일)에도 본점 집무실로 출근하지 못했습니다.

금융권을 통틀어 2013년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14일)을 넘어서는 최장기 기록입니다.

기업은행 노동조합은 '낙하산 행장' 반대를 외치며 정부와 여당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정부의 인사권'을 강조하며 직접 입장을 표명했지만, 노사갈등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당초 윤 행장의 거취를 둘러싼 기업은행 내부의 갈등은 지난주에는 정리 수순을 밟지 않겠느냐는 게 금융권의 관측이었습니다.

갈등의 중심에 선 윤 행장은 직접 몇차례에 걸쳐 노조에 대화를 제안했고, 노조 내부에서도 갈등 장기화에 따른 경영 공백과 기업은행 이미지 실추, 고객 불편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실타래는 쉽게 풀리지 않았고, 노조는 대화 자체에는 열린 입장을 보이면서도 '윤 행장과의 대화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라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행장 제청권을 가진 정부, 임면권을 가진 청와대(대통령), 지난 대선에서 금융노조와 '낙하산 인사 근절' 등의 내용으로 정책협약을 맺었던 더불어민주당이 나서서 현 사태에 대한 사과를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오히려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이후 노조는 운신의 폭이 더 좁아졌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문 대통령은 "인사권은 정부에 있다"며 "(노조도) 그냥 내부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비토하는 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의 단호한 답변에 노조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습니다.

내심 당정청의 화해 메시지가 나오기를 바랐지만, 노조의 문제 제기 자체가 근본적으로 잘못됐다는 취지의 답이 돌아온 것입니다.

노조는 연거푸 성명을 내고 반발했습니다.

2013년 민주당이 당시 기업은행장 후보에 올랐던 허경욱 전 기획재정부 차관에 대해 낙하산 인사와 관치라는 이유로 반대해 낙마시켰던 기억을 상기시켰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국책은행장 임면권에 대한 법은 그대로인데, '상황 논리로 자기모순을 덮으려 한다'는 주장입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우리로서는 대화의 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대통령이 찬물을 끼얹은 것과 다름없다"며 "이대로 투쟁을 접을 수는 없는 상황이 됐고, 사실상 문제 해결이 더 어려워졌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기업은행장 인사 갈등이 출구를 찾지 못한다면 노동계와 정부의 전면전으로 확대될 개연성도 있습니다.

상급 단체인 한국노총의 차기 위원장 후보 모두 내일(21일) 선거 직후 기업은행 투쟁에 동참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민주노총 산하 사무금융노조와 한국은행·금융감독원 노조도 지난 9∼10일 현장을 찾아 연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다만 갈등 장기화는 노사 양측에 모두 부담인 만큼 시간이 가면서 어떤 식으로든 해결을 위한 물밑 작업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 행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노조가 제기하는) 임원 선임과정의 절차적 투명성 문제는 정부와도 상의해보겠다"고 밝혔던 만큼 대화의 주체로 나서지는 못하더라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여지는 있습니다.

정부와 여당 안에서도 사태를 주시하며 노조에 접촉을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질적으로 대화가 이뤄지거나 진전이 있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노조 관계자는 "대화의 키는 저쪽(당정청)에 있다"며 "대화가 이뤄진 후에는 윤 행장에 대한 토론회든 공청회든 열어서 그의 경영철학과 리더십을 검증하고 직원들의 불안을 잠재울 기회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새해엔 이런 뉴스를 듣고 싶어요" 댓글 남기고 달력 받자!
▶ SBS가 고른 뉴스, 네이버에서 받아보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