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물가와 GDP

작년 소비자물가 0.4%↑ 역대 최저…정부, 소비 진작책 ‘풀무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0%대는 외환위기때 등 3차례 뿐

경기부진·농축수산물 값 하락 탓

교육·의료 복지정책 확대도 영향

저물가 지속땐 경기 역동성 저하

새해 전망치도 0.6%~1%로 낮아

정부, 저물가 흐름 끊기에 주력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저로 떨어졌다. 경기 부진에 농수산물 등 주요 품목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게 주요 원인이다. 올해 물가상승 전망 폭이 낮은 상황에서 정부는 적극적인 소비 진작 정책으로 저물가 흐름을 끊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105.12)는 전년보다 0.4% 상승했다. 이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서 2015년 경기 부진과 저유가 영향으로 소비자물가가 0.7% 올랐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0.8% 상승한 것을 포함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대에 머무른 건 모두 세 차례다.

한겨레

석유류와 농·축·수산물이 각각 5.7%, 1.7% 감소해 이들 품목 하락이 전체 소비자물가를 0.36%포인트 내리는 요인이 됐다. 반면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 물가는 1.9%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를 0.59%포인트 끌어올렸다. 서비스물가 가운데서도 학교급식비(-41.2%), 고등학교 납입금(-13.5), 병원 검사료(-9.4%) 등은 교육·의료 복지정책 확대로 하락했다. 택시요금(12.4%), 시외버스료(11.2%) 등은 올랐다. 집세 가운데 전세 비용은 0.2% 올랐고 월세 비용은 0.4% 내렸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를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0.9% 상승했다. 1999년(0.3%)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역시 1999년(-0.2%) 이후 최저다.

지난해 월별 물가상승률 흐름을 보면, 상반기 0%대 후반에 머물다 9월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0.4%)를 기록했다. 이후 10월 0%, 11월 0.2% 상승에 이어 12월 0.7%로 상승 폭이 커졌다. 4분기에 들어서면서 태풍 및 가을장마로 농산물 하락세가 둔화하고, 국제유가 상승세 등으로 석유류 가격도 올랐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사상 최저 수준의 물가상승률의 배경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의 일시적인 하락과 복지정책 확대 효과를 꼽고 있다. 따라서 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소비자물가뿐만 아니라 경제 전체의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도 2018년 4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1년째 마이너스에 머무르는 등 전반적인 경제 역동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로 전망하지만, 한은의 물가 상승 목표치인 2%에는 못 미친다. 저물가 흐름을 벗어나기 위해선 경기 반등을 통해 수요가 회복돼야 하는데, 경기 반등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난달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정부 전망치보다 낮은 0.6%로 예상했다. 특히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보다 낮은 0.7%로 봤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수요가 일부 개선되겠으나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는 가운데 정부 복지정책도 확대되면서 낮은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페북에서 한겨레와 만나요~
▶신문 보는 당신은 핵인싸!▶7분이면 뉴스 끝! 7분컷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