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 자체에 대한 전망은 제각각이지만 중국 경제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하방 압력을 받을 것이란 예상은 공통된 시각이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와 홍콩 시위 사태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해 중국 경제의 삼두마차인 소비·투자·수출입이 활기를 되찾기에는 시간이 걸릴 거란 관측에 힘이 실리는 것이다. 나아가 최근 들어 한층 증폭된 금융 리스크도 내년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요인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7월 이후 중국의 분기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하락 곡선을 그려왔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 6.5%를 기록한 뒤 같은 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6.4%로 내려앉았다. 그러다 올해 2분기 6.2%로 떨어지더니 3분기에는 6%를 기록했다. 지난 3분기 성장률은 중국 당국이 분기 성장률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2년 이래 27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아직 4분기와 연간 성장률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중국에서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6.1%에 그칠 것이란 관측을 내놓는다.
▶글로벌 硏·銀, 中 성장률 5%대 전망
중국 당국은 올 12월 중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열고 내년도 성장률 목표를 논의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중국 지도부가 이번 회의에서 2020년 성장률 목표를 ‘6% 정도’로 설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목표치인 6~6.5%보다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하는 셈이다. 만약 중국 당국이 내년 성장률 목표를 ‘6% 정도’로 잡는다면 내년 성장률이 5%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최근 중국 당국 메시지는 심리적 마지노선인 ‘6%’ 의미를 애써 희석시키려는 인상을 풍긴다. 왕이밍 중국 국무원 개발연구센터 부주임은 “성장률 6%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기준이 아니다”라며 “성장률이 6%를 웃돌거나 밑도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성장의 질과 효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중국 지도부에는 내년도 성장률 6%를 달성하는 것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통한다. 중국은 공산당 창립 100주년이 되는 오는 2021년까지 전면적인 샤오캉 사회(小康社會·의식주 문제가 해결된 다소 풍요로운 사회) 진입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21년을 앞두고 2020년 국내총생산과 도농 주민 1인당 소득(도시 주민 가처분소득, 농촌 주민 순수입)을 2010년 대비 2배로 늘리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를 위해서는 내년도 경제성장률이 적어도 6%를 넘어가야 한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 12월 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주재로 중앙정치국 회의를 열고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 방침을 시사했다. 매년 말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앞두고 열리는 12월 정치국 회의는 실질적으로 이듬해 경제 운용 방향을 논의해 결정하는 자리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제일재경은 “이번 회의에서 주목할 대목은 ‘인프라 시설 건설을 한층 강화한다’는 표현이 새로 들어간 점”이라며 “내년에는 대내외 리스크가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있어 인프라 투자 확대가 경기 부양에 힘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올해 초 인프라 투자용 특수목적 채권 발행 규모를 전년보다 8000억위안 증액한 2조1500억위안으로 올려 잡았다. 시장에서는 내년 특수목적 채권 발행 규모가 3조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daekey1@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038호 (2019.12.18~2019.12.24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