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들 사망 원인 되짚어서 기억하다
경향신문, 1355명 전수조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산업재해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그러나 통계는 추상적이다. 왜 노동자가 일하다가 죽었는지 잘 알려지지도 않을뿐더러, 보도되더라도 금세 잊힌다. 매일 ‘김용균’이 있었고, 내일도 ‘김용균’이 있을 것이지만 한국 사회는 노동자의 죽음에 무감각해졌다.
경향신문은 2016년부터 올해 9월 말까지 고용노동부에 보고된 중대재해 발생 현황 목록을 정보공개청구로 입수했다. 사고 원인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실을 통해 지난해부터 올해 9월 말까지 발생한 사고성 사망 재해에 대해 산업안전보건공단이 작성한 조사 의견서 전량을 확보했다. 총 1305건에 1355명이다. 이를 토대로 노동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과 나이 등을 확인하고 죽음에 이르게 된 과정을 구체적으로 되짚었다. 파편화되고 기억되지 못하는 죽음을 한데 모아 추모한다는 의미도 담았다.
일반적으로 산재 사망은 ‘사고’와 ‘질병’으로 나뉜다. 2018년 한 해 2142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이 중 사고 사망자는 971명, 질병 사망자는 1171명이다. ‘하루 6명이 죽는다’는 말의 근거가 되는 통계다. 다만 산재 통계는 해당 사고가 산재로 인정받고 유족급여가 지급된 날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지난해 사망했더라도 올해 사망자로 편입될 수 있다. 산재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특수고용노동자·1인 자영업자의 사망, 은폐된 사망 등은 여기서 제외된다.
경향신문은 현장에서 벌어지는 노동자들의 죽음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기 위해 중대재해 보고에 주목했다. 중대재해 보고는 사고 중심이다. 질병 사례는 분석이 어렵지만 사망 원인이 좀 더 명확하고 강력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면의 이름은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떨어짐, 끼임, 깔림·뒤집힘, 부딪힘, 물체에 맞음 등 주요 5대 원인으로 사망한 노동자들이다. 김용균처럼 알려진 고인 외에는 성씨만 적었다. 외국인은 알파벳 첫 자나 한글 발음 첫 글자로 표기했다. 경향신문 인터랙티브 사이트(news.khan.co.kr/kh_storytelling/2019/labordeath/) 에서 이들의 죽음을 더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황경상 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