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공동연구 결과 발표 / 연평균 기준… “국내 요인은 51%”
서울 도심 하늘이 뿌옇다. 뉴스1 |
우리나라 초미세먼지(PM2.5, 이하 미세먼지)의 32%는 중국에서 날아온 것이라는 한·중·일 공동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정부가 자국의 책임을 인정하고 공동 보고서를 발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일 한·중·일이 함께 수행한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를 공개했다.
3국 과학자들은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를 추진했고 4단계 연구기간인 2013~2017년 미세먼지 연구까지 추가해 이번 보고서를 작성했다. 당초 지난해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중국의 반대로 1년 연기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연평균 기준으로 중국 배출원이 우리나라 3개 도시(서울·대전·부산)에 주는 영향은 32%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국내 미세먼지가 100만큼 있다고 할 때 32는 중국에서 왔다는 의미다. 한국 자체 기여율은 51%였고, 몽골이나 러시아, 북한 등 기타 국외요인도 15%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3국 연구진의 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나라별 분석을 보면 분명한 차이도 드러난다. 서울 미세먼지의 경우 한국과 일본 연구진은 39%가 중국발이라고 봤으나 중국 연구진은 23%로 낮게 잡았다. 반면 한국 자체 기여율은 한국과 일본 연구진이 각각 42%, 30%로 본 데 비해 중국 연구진은 63%로 한국 자체 발생량이 중국 기여율보다 2.7배나 더 높다고 판단했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이 20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동북아 장거리아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 보고서, 최초 발간'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
중국은 자체 기여율이 91%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베이징 미세먼지의 발생원에 대해 한국과 일본 연구진은 각각 93%, 86%가 중국으로 분석했고, 중국 연구진은 이보다 더 높은 96%가 자체 요인이라고 봤다.
김순태 아주대 교수는 “중국이 사용한 모델(CAMx)은 한국·일본 모델(CMAQ)에 비해 자체 발생량을 크게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본 미세먼지의 중국 영향도 25%나 됐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보고서는 3국 공동연구에 대해 3국 정부가 함께 검토해 발간한 최초의 보고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동북아 대기질 개선을 위한 귀중한 과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