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전남대-여수대 통합 15년, 실패라는 평가 높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수시민 절반 "존재감 상실하고 약속 안 지켜"

"산단·수산업 대성화 대학으로 육성해야"

전남CBS 최창민 기자

노컷뉴스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정문.(사진=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 전남대학교와 옛 여수대학교가 통합한지 15년이 지난지만 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와 지역 기여도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가 전남대 여수캠퍼스 위상회복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의 의뢰를 받아 지난 9월 24일부터 4일간 '여수 거점대학의 방향성과 여수시민이 원하는 지역대학 설립'에 관한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 결과 대학통합정책 평가에 관해 실패사례로 보는 의견이 38.6%로, 그렇지 않다 24.4%, 그저 그렇다 37%보다 높았다. 대학통합 정책의 실패라는 평가가 그렇지 않다는 평가보다 14% 높은 것이다.

통합정책의 실패사례로 보는 이유는 지역대학으로서 존재감 상실 27.7%, 통합양해각서 미이행 22.3%, 여수대학의 전남대학으로 종속화 12.8%, 지역사회와 교감 및 소통 불충분 12%, 대학 자체 발전의 저해 11.5% 순으로 조사됐다.

통합 전남대가 추진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는 24.8%가 여수캠퍼스를 여수국가산단과 수산업 등 지역 특성에 맞는 특성화 대학으로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을 내놨다.

이어 통합양해각서 내용 중 의료기관의 전문병원 유치설립 요구가 21.9%, 전남대 여수캠퍼스의 인사와 예산 등 자율성 확대 20.5% 순으로 관심도 나타냈다.

특히 전남대 여수캠퍼스를 '여수 전남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는 안에 대해서 찬성 의견(매우 찬성 8.7%, 찬성 41.1%)이 49.8%로, 반대 의견(매우 반대 4.3%, 반대 18.0) 22.3%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통 의견은 27.9%였다.

전남대 여수캠퍼스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특성화 대학으로 개편은 75%가 찬성했다. 반대는 3.2%에 불과했다.

개편 방안은 수산 해양산업대학 40.9%, 여수산단과 광양제철을 연계한 일부 공과대학 38.4%, 지역현안및정책을 위한 인문사회학과 설치가 9%로 조사돼 여수의 특성에 맞는 대학으로 개편이 시급했다.

이번 조사는 여수지역사회연구소가 여수시민 438명 (조사 577명, 조사 거부 139명)에 대해 인구비례에 따른 21항목 무작위 면접 조사했고 응답률은 75.9% 였다. 이번 설문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0%P다.

전남대 여수캠퍼스 위상회복추진위원회 배석중 위원장은 "여수캠퍼스가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 대학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전문병원을 유치하는 등 통합 당시 약속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수캠퍼스의 자율성도 더욱 더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05년 전남대학교와 여수대학교 간 통합 이후 불균형적 예산 배정 및 학과 재배치, 학생 정원 수 조정 등으로 여수캠퍼스의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자 통합 철회 목소리가 높아졌다.

2015년 10월 공식 출범한 전남대 여수캠퍼스 위상회복추진위원회는 그동안 전남대학교와 여수대학교 통합양해각서 이행 촉구 궐기대회, 교육부 항의 방문, 국회 교육위원회 방문, 시민 서명운동 전개 등 시민운동을 전개해 왔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