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전주 한옥마을 상인들, 수수료 안내고 쓰레기 '슬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숙박·음식업소 122곳 중 86곳 음식물 수수료 안 내

반면 가정용 쓰레기봉투 사용늘고 무단투기율 감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부 "전주시민 비용 부담"

전북CBS 남승현 기자

노컷뉴스

전주 한옥마을에 버려진 쓰레기. (사진= (사)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부 소비자정보센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주 한옥마을 상인들의 쓰레기 무단투기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숙박업소 10곳 중 7곳꼴로 음식물 쓰레기를 무단 투기해 온 것으로 드러나 관리 당국의 철저한 감독이 요구된다.

(사)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부 소비자정보센터는 지난 8월 한옥마을 3개 지점과 음식 숙박업소 122곳을 대상으로 음식물 쓰레기 수수료 납부 현황을 조사했다.

이중 숙박업소 81곳 중 60곳이 음식물 쓰레기 수수료를 납부하지 않았다.

음식업소 41곳 중 26곳도 수수료를 내지 않았다. 납부 업소 15곳(36.6%)의 평균 수수료는 3만7548원에 불과했다.

노컷뉴스

검은색 봉투에 담겨 버려진 쓰레기. (사진= (사)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부 소비자정보센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주민들의 쓰레기 무단 투기는 감소했다. 가정용 종량제 봉투 사용이 늘고 무단투기는 줄었다.

올해 배출된 쓰레기 중 가정용 종량제 사용량은 26.2%로 지난해(23.5%)와 비교하면 3%가량 증가했다.

무단투기율은 지난 2018년 1차 조사에서 65%에 달했지만 올해 최종 조사에서는 14%로 대폭 감소했다.

특히 공공형 종량제 봉투에서도 나무 식도구와 부탄가스, 업소 영수증, 음식물 쓰레기 등은 발견되고 있다는 게 조사 단체의 설명이다.

(사)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부 소비자정보센터 관계자는 "상인들의 불법 투기는 결국 전주시민이 공용으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며 "전주 한옥마을이 쾌적하고 아름다운 공간으로 관광객을 맞기 위한 자생 노력과 함께 철저한 감독과 벌과금 부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