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9 (일)

이슈 물가와 GDP

S&P “한국 1인당 GDP, 2022년엔 3만5000달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용등급ㆍ전망, ‘AA’와 ‘안정적’으로 유지
한국일보

10월 기준 3대 신용평가사의 국가 신용등급. 기획재정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과 향후 전망을 기존과 동일한 ‘AA(안정적)’으로 유지했다. S&P는 단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 내외로 둔화할 수 있지만 2022년에는 우리나라의 1인당 GDP 3만5,000달러까지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6일 “한국의 견조한 성장세가 경제적 번영, 높은 재정ㆍ통화 유연성, 양호한 대외건전성 등에 기여한다”며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유지 결정 이유를 밝혔다.

S&P는 올해 3만1,800달러 수준인 1인당 평균 GDP가 2022년에는 더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P는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추세치 전망은 2.2%로 다른 고소득국가와 대비하면 높은 수준”이라며 “최근의 한국 경제가 다른 고소득국가보다 견조하고, 특정 산업이나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 돼 있다”고 설명했다.

대외건전성 분야에서는 우리나라가 2014년부터 순대외채권자로 전환했고, 단기외채 비중이 감소했으며, 경상수지 흑자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S&P는 “한국 외환시장의 깊이와 환율 유연성이 한국 경제의 강력한 대외 완충 장치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화정책 측면에서도 “한국은행이 물가안정 목표제를 통해 경제 안정과 기대 인플레이션 관리에 성공해 왔고, 독립적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졌다”며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는 제약 요인이지만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분할상환 전환 노력으로 리스크가 완화되고, 대출 심사 기준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도입해 부채 증가 속도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언급했다.

우려되는 점은 최근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지정학적 위협이 재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북한의 경제 자유화가 상당 수준 진전될 경우 지정학적 위협도 감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 관련한 안보 위험이나 북한 정권 붕괴에 따른 통일비용(우발채무) 위험이 줄어들 경우 국가신용등급 상향도 기대할 수 있다.

GDP 성장률은 단기적으로 2%내외로 둔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S&P는 “세계ㆍ역내 교역 여건 부진으로 수출증가율이 올해들어 부진했는데, 최근의 한일 무역갈등이 불확실성을 키우고 투자심리를 제약할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대외경쟁력과 견조한 성장세 유지를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S&P는 재정과 관련해서도 “비금융 공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가능성이 재정건전성 제약 요인”이라고 밝혔다.

S&P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2016년 8월부터 세번째로 높은 등급인 AA를 유지하고 있다. 무디스가 매긴 신용등급도 S&P와 동일한 수준인 ‘Aa2’이며 피치는 한 단계 낮은 ‘AA-‘다.

세종=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