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주)한국강사신문 강사연구분석센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재천 칼럼니스트] 강사 시장이 위기다. 진입하기 쉽지만 살아남기 어려운 세계라는 점에서 늘 위기였지만 더 심각해졌다. 주 52시간 제도로 기업은 교육 시간을 줄였고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며 기업뿐만 아니라 다른강의 분야에서도 꼭 필요한 강의만 진행되고 있다.
강사는 강의력 외에도 살아남기 위한 다양한 생존 전략을 생각해야 하는 시대다. 과거에는 한 분야, 특정 주제의 전문 강사면 살아남았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강의의 전체 파이가 작아졌기 때문에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고 강의 영역을 확대해야 강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수 있다. 또 혼자 하기보다는 다른 강사들과 함께 생존을 고민해야 생존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인식도 확산되었다. 그야말로 위기가 곳곳에 보이고 피부에 와닿는다.
이러한 위기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강사 트렌드다. 시장이 없어지지 않은 한, 즉 비즈니스가 성립한다면 시장의 상황에 관계없이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 바로 트렌드다. 변화에 대응하려면 변화를 주시해야 한다. 경쟁우위와 함께 적응우위를 선점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강사는 강사 트렌드를 살펴보고 분석하며 생존 전략을 수립하고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
본 책은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19』에 이어 연속 발간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강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트렌드 분석서다. ㈜한국강사신문 강사연구분석센터에 소속된 12명의 전문 강사가 강의 분야별 최신 트렌드를 분석하고 집필했다.
이 책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20』은 강사를 준비하는 사람과 기업이나 기관의 교육담당자에게도 필독서다. 강사가 되기 위해선 강사 시장의 흐름과 변화를 알아야 하고 교육을 기획하고 설계하며 운영하는 담당자 역시 변화에 대응해서 꼭 필요한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강사 트렌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강사트렌드코리아 |
WORK SMART 워크 스마트 : 유재천 강사의 '워크 스마트' 강의 분야에서는 법정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으로 단축되면서 증가한 워크 스마트 강의와 관련된 트렌드를 다양하게 분석했다.
워크 스마트 강의 분야의 키워드 트렌드, 복잡성에 대응하여 스마트해지는 워크 스마트 강의 주제의 사례, 워크 스마트 강의 분야의 요구역량 변화와 강의 방식의 트렌드 변화 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 김경록 강사의 '4차 산업혁명' 강의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현재를 점검하고 해당 강의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변화를 분석했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강의 준비와 강사의 대응 전략을 제시하며 4차 산업혁명 강의 분야의 트렌드를 통해 강사의 생존 전략을 전달한다.
△CUSTOMER SATISFACTION CS : 권서희 강사의 'CS' 강의 분야에서는 변화의 소용돌이 속 CS 교육시장을 분석하며 CS 강사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생존 전략으로 '감성'과 관련된 최신 트렌드를 제시한다. CS 분야의 새로운 과제로 밀레니얼 고객 만족을 꼽으며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의 이해를 통해 CS 강의 방향을 제안한다.
△LOVE 연애 : 이명길 강사의 '연애' 강의 분야에서는 늘 사람들의 관심 속에 있는 변하지 않는 트렌드 연애 강의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본다. 연애강의 수요의 증가, 신직업 '연애코치'의 등장이라는 변화와 함께 흥미로운 2020년의 연애강의 트렌드를 예측한다.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 장한별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강의 분야에서는 강의 시장의 변화를 관계 이슈, 검색 키워드, 관련 출간 도서, 민간자격증 등록 현황, 설문, 조직 내 변화 등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정리하고 커뮤니케이션 강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HUMANITIES 인문학 : 최종엽 강사의 '인문학' 강의 분야에서는 계속되는 인문학 열풍을 인문학 강의의 세부 분야로 나누어 분석했다. 대학인문학, 경영인문학, 시민인문학 등의 분야를 상세하게 들여다보며 인문학 강사에게 중요한 변화를 알아보고 관련 트렌드와 인문학 강의 분야를 전망한다.
△GROUP ACTIVATION 조직활성화 : 최창수 강사의 '조직활성화' 강의 분야에서는 급변하는 기업의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 교육의 트렌드를 살펴본다. 조직활성화 강의 분야 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고 최근의 변화와 연결해서 어떻게 흘러왔는지 알아본다. 또한 이러한 변화에 조직활성화 강사가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지 다양한 경험과 사례로 강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YOUTH CAREER PATH 청소년 진로 : 위현정 강사의 '청소년 진로' 강의 분야에서는 자유학기제와 관련된강의, 강사 트렌드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예시를 통해서 분석했다. 가장 중요한 진로 교육 트렌드인 체험 교육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알아보고 청소년 진로 강의 분야의 강사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팁을 추천한다.
△UNIVERSITY STUDENT CAREER PATH 대학생 진로 : 김민경 강사의 '대학생 진로' 강의 분야에서는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의 변화를 분석했으며 이러한 변화를 바라보고 대응하는 강사의 자세를 강조했다. 또한 다양한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진로 강의를 위해 준비해야 할 부분을 공개한다.
△LIFE CAREER DESIGN 생애경력설계 : 김은아 강사의 '생애경력설계' 강의 분야에서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고령사회인 대한민국에서 생애경력설계 강사가 알아야 할 트렌드와 준비해야 할 조건을 전한다. 평생교육의 시대에 맞춰 새로운 강의 열풍시장으로서, 생애경력설계 강의 분야를 분석하며 준비에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뤘다.
△RECRUITMENT · EMPLOYMENT 채용·취업 : 조지용 강사의 '채용·취업' 강의 분야에서는 블라인드 채용 확대에 따른 채용과 취업에 대한 변화를 구체적인 데이터와 다양한 자료를 통해 분석했다. 다양한 변화에 따른 기업이 원하는 강사의 조건, 교육 시장의 변화, 실제 운영되는 교육 과정의 상세 내용을 소개한다. 나아가채용 및 취업 강의 분야의 강사가 갖춰야 할 전문성을 제시한다.
△SELF-MEDIA, YOUTUBE 유튜브 : 이승진 강사의 '유튜브' 강의 분야에서는 유튜브 및 유튜버 관련 최신 이슈와 변화를 확인하고 유튜브 강의 열풍을 조망한다. 세분화되고 있는 유튜브 강의 시장의 영역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각 영역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유튜브 강사가 주의해야 하고 집중해야 할 내용을 준비했다.
위기가 곧 기회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위기에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준비하면 기회로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위기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위기에 빠져서 정체되거나 후퇴할 수도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점이 변화를 바라보는 눈이다.
유재천 코치 |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비해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혼자가 아니라 함께 분석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혼자는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다. 진입하기 쉽지만 살아남기 어려운 강사 세계에서는 더 그렇다.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20』의 집필 강사가 함께해 보자고 외친다. 지금부터 함께 강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를 준비하자.
"우리는 '나처럼 해 봐.'라고 말하는 사람 곁에서는 아무것도 배울 수 없다. '나와 함께 해 보자.'라고 말하는 사람만이 우리의 스승이 될 수 있다."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 참고자료 : (주)한국강사신문 강사연구분석센터의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20(지식공감, 2019.10.9.)』
유재천 칼럼니스트는 의미공학연구소 대표로서 조직과 개인의 행복한 성장을 돕는 코치로 활동 중이다. 재료공학을 전공한 후 포스코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경영대학원에서 리더십과 코칭 MBA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스타강사 12인의 미래계획서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20』(공저),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19』(공저)를 비롯해 『성장, 의미로 실현하라』, 『여행이 끝나도 삶은 계속된다』 등이 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