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일본, 한국과 11월 정상회담은 안 한다면서 중국과는 대화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오전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11월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30일 전했다. 당초 내달 열리는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를 계기로 양국이 정상회담을 추진한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부인한 것이다. 이날 강제동원 배상 판결 1년을 맞은 가운데, 일본이 한국 측 태도변화를 압박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보도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지난 24일 이낙연 국무총리와 도쿄에서 가진 회담에서 조기 정상회담 실현을 요구하는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받았으나, 한국 측이 국제법 위반 상태를 시정할지 당분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같이 결정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판결이 국제법 위반으로, 한국 측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 정부 고위 관리는 “문제는 국제 약속을 지킬 것인지 어떤지다. 공은 한국 측에 있다”며 현 상황에서 정상회담에 응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라고 요미우리는 덧붙였다.

내달 아세안+3 정상회의가 3~5일 태국 방콕에서, APEC 정상회의가 16~17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다. 한·일 정상은 두 다자회의에 모두 출석하기 때문에 이를 계기로 정상회담이 실현될 수 있을지 주목받았다. 설사 양 정상이 이들 회의에서 접촉하더라도 짧은 시간 서서 얘기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망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아무 것도 결정된 게 없다”고 했다.

일본 정부의 강경론은 일본 측에 유리한 합의안 도출을 위한 압박 전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이 다음달 23일 종료되고, 대법원 판결에 따른 일본 기업의 국내 압류자산 매각이 이르면 연말 현실화된다는 점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한국과의 정상회담은 보류하면서도 중국과의 정상회담은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정부가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서 아베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하는 방향으로 조정 중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내년 봄으로 예정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방일에 앞서 양국 간 연대 강화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강제징용 소송 문제를 둘러싸고 대립이 이어지고 있어 실현될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도쿄|김진우 특파원 jwkim@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