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文 “군산 전기차 메카로 우뚝… 1900명 고용 창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산형 일자리’ 협약식 참여 / GM 떠난뒤 중소·중견기업 주도 / 2022년까지 4122억원 투자 나서 / 수직적 구조 벗어나 수평적 협력 / 직무·성과중심 임금체계도 도입 / 공정경쟁·상생협력 선도 격려도

제너럴모터스(GM) 공장이 떠난 전북 군산시가 한국 중소·중견기업 주도의 전기자동차 산업단지로 거듭난다. ‘군산형 일자리’를 통해 2022년까지 1900여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전북 군산에 위치한 ㈜명신의 프레스공장에서 열린 ‘군산형 일자리 상생 협약식’에서 협약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군산=이재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군산을 방문해 현 정부 들어 6번째로 체결된 상생형 지역 일자리 협약을 격려했다. 이날 오후 전북 군산에 있는 ㈜명신의 프레스공장에서 열린 ‘전북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이제 군산과 새만금 일대에 전기차 클러스터가 새롭게 조성되고 2022년까지 4122억원 투자와 함께 1900여개의 직접고용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며 “지역의 신산업 육성 의지와 노사민정 대타협, 정부 지원이 더해져 군산은 전기차 메카로 우뚝 설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군산 자동차 기업들의 노사, 지역 양대 노총, 시민사회, 전북과 군산시, 새만금개발청과 군산대 등 군산을 아끼고 군산의 미래를 만들어 갈 군산의 역량이 총망라됐다”며 “가동을 멈춘 자동차 공장에서 전기차 생산라인이 다시 힘차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군산형 일자리가 무엇보다 희망적인 것은 상생 수준이 최고라는 점”이라며 “상생형 일자리 중 직접고용 규모가 가장 크고 정규직 채용 비중이 높으며 직무·성과 중심의 선진형 임금체계가 도입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생협약의 새로운 기준도 제시했다”며 “완성차·부품업체 관계가 수평적 협력관계로 명시돼 공정경제·상생협력을 선도하는 자동차 원·하청의 성숙한 관계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기준임금 가이드라인을 정하는 지역 공동교섭이 전국 최초로 시작됐고 사업장별 임금 격차를 최소화하는 적정임금체계가 마련됐다”며 “노사가 5년간 중재위원회 조정안을 수용하기로 해 노사협력의 모범도 보여주고 있는데, 지역 양대 노총이 함께 참여해 양보를 통한 상생의 역량을 보여준 덕분”이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문 대통령은 “이제 초심대로 협력해 성공신화를 만들어낼 일만 남았다”며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 전북의 규제혁신 노력이 더해지면 군산·전북 경제가 미래차 중심지로 더 크게 도약할 것”이라며 “정부도 상생형 지역 일자리 지원센터를 통해 지역에 도움을 드리고 기업·노동자에게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협약식에는 한국노총·민주노총 군산시지부와 5개 전기차 완성차 기업·부품기업 노사 대표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

군산형 일자리는 군산·새만금 산업단지에 2022년까지 총 4122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직접 일자리 1900여개를 창출하는 프로젝트다.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MPS코리아 등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2개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투자에 참여한다. 기존 상생형 일자리 모델과 달리 중소·중견기업이 중심이 되고 완성차와 부품업체가 수평적으로 협력하는 모델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협약식이 열린 명신 군산공장은 지난 3월 폐쇄된 한국GM 공장을 인수한 곳이다.

GM 철수로 군산 지역에서는 약 28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와대는 상생형 일자리 중 가장 많은 1900여개의 직접 일자리가 창출돼 지역 고용 상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우중·박현준 기자 lo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