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野 "보수 유튜버 광고 없애는 '노란 딱지' 급증… '블랙리스트'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상직 한국당 의원 "유튜브 운영 불투명… 구글코리아,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고발할 것"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윤상직(자유한국당) 의원은 21일 "보수 유튜버들이 동영상 서비스인 유튜브에 게재한 콘텐츠에 뚜렷한 이유 없이 '유튜브 약관 위반'을 뜻하는 '노란딱지'가 붙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며 "유튜브 관리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구글코리아를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할 것"이라고 했다. 윤 의원이 지적한 '노란딱지'는 유튜브 상에서 약관에 위배되는 유해 콘텐츠 등에 붙는 노란색 '달러($)' 모양 아이콘을 말한다. 이 '노란딱지'가 붙으면 광고가 제한되는 등 유튜브 채널 운영자들이 피해를 본다. 윤 의원 측은 "'노란딱지'가 당초 목적과 달리 보수 유튜브 채널 등 특정 채널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붙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블랙리스트(배제 명단)'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윤 의원 측이 최근 유튜브 구독자 수 상위 35위의 보수 유튜버를 상대로 '노란딱지'의 발급 현황 등을 직접 조사한 결과, 답신을 보내온 13곳 모두 자신의 영상물에 붙은 노란딱지 발부 사유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 상당수 보수 유튜버들이 '노란딱지'로 인해 광고 피해를 입고 있다고 밝혔다. 구독자 수 20만명이 넘는 '김문수 TV'의 경우 608개 게시물 중 231건(약 38%)에 노란딱지가 붙어 광고 제한으로 600만원 이상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했다. '미디어워치 TV'는 지난 8월 이후 43건 중 28건(약 65%)의 게시물에 노란딱지가 붙어 1000만원 이상의 피해가 났다고 했다. 하루 평균 4개, 누적 500여개 게시물을 게재해온 '고고 TV'는 지난 10일부터는 모든 게시물에 노란딱지가 붙고 있다.

윤 의원 측에 따르면 이 같은 '노란딱지'는 보수 유튜버가 일반에 공개하지 않은 영상물이나 아무 내용조차 없는 빈 동영상에도 붙고 있다. 윤 의원실이 한 보수 유튜버와 함께 '흰색 배경'만 나오는 테스트 화면을 만들어 올리는 실험을 했는데, 바로 노란딱지가 붙었고 1분 뒤 해제됐다고 한다. 이와 관련, 한 보수 유튜버는 윤 의원실에 "공통적으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문정인, 임종석, 조국 등과 같은 이름을 붙인 동영상에 노란딱지가 붙는다"고 했다. 윤 의원 측 관계자는 "보수 유튜버의 영상에 대해 노란딱지가 붙을 경우 광고 수익이 급감하는 것을 노리고 특정 단체에서 소위 '좌표'를 찍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 보수 유튜버들을 상대로 한 '블랙 리스트'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며 "이에 대해 구글코리아 측이 명확하게 해명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유튜브는 "자체 콘텐츠 가이드라인에 따라 '부적절한 언어' '폭력' '증오성 콘텐츠' 등 11개 항목이 노란딱지 부착 대상"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윤 의원 측은 "(구글코리아의) 설명이 미흡하고 예시가 명확하지 않아 추상적이라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요주의' 유튜버들에게는 일단 '노란딱지'를 붙이고 보는 식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이와 관련해 구글코리아를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공정위에 고발할 것"이라고 했다.

[김보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