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환송 오찬에 참석하러 가고 있는 이수혁 신임 주미대사.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수혁(70) 신임 주(駐)미국 특명전권대사가 당장 해결해야 할 한미 간 현안으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ㆍ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따른 파장의 수습을 꼽았다. 효력 발생 전까지 일본이 보복성 수출 규제를 철회하는 데 미국이 건설적 역할을 하게끔 견인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사는 17일 기자간담회에서 “(8월 우리 정부가 한) 한일 지소미아 종료 결정의 효력이 발생되는 게 11월 22일 밤 12시인데, 그 전까지 우리 정부 입장이 관철되든 한일 간에 유연한 협상이 이뤄지든 어떻게 귀결될지가 최대 관심”이라며 “미국이 건설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촉구하고 독려하는 게 단기적으로 저한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재를 요청하겠다는 취지냐’는 질문에는 “두 달 전 국회의원 자격으로 미국에 갔을 때 미 국무부 고위 관료가 ‘중재는 어렵고 건설적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얘기했다”며 “둘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 모르겠지만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파악도 하고 권유도 하고 그럴 생각”이라고 대답했다.
현재 미 정부는 한일 갈등과 관련, 한쪽 편을 들거나 중재안을 마련하는 역할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양국 모두 동맹국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일 지소미아가 미국의 동북아시아 안보 이익이 걸린 한미일 삼각 공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대화를 주선해 양국의 자체 해법 모색을 유도하겠다는 의사는 보이고 있는 상태다. 실제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시아ㆍ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16일(현지시간) 상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 청문회에 앞서 제출한 서면 답변을 통해 “우리 입장은 두 동맹국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지만 이게 광범위한 개입을 배제하는 건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에 불만을 품은 일본이 7월 초 대(對)한국 수출 규제 강화 카드를 꺼내 들고 대응 조치로 곧장 한국이 지소미아 파기 가능성을 시사할 때부터 줄곧 미국은 우려를 표시해왔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 대사는 미중 관계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미중 관계가 한국 외교의 좌표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이를 분석ㆍ연구해 1년 내에 좋은 보고서를 만들고 싶다는 게 개인적 욕심”이라며 “부임하면 대사관에 미중 관계를 연구하는 조직도 만들어보려 한다”고 했다.
최근 재개됐지만 다시 교착 조짐이 보이는 북미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서는 “과정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했다. 그는 “북한의 전략ㆍ전술을 보면 천둥ㆍ번개를 만들거나 먹구름을 드리웠다가 갑자기 파란 하늘을 내보여주기도 한다. 자기들의 정치ㆍ외교적 필요에 의한 과속 방지턱 같은 것”이라며 “협상을 통한 해결의 비용이 가장 적은 만큼 낙관하는 인내가 필요하다”고 했다.
15일 정식 발령된 이 대사는 부임을 위해 24일 워싱턴으로 출국할 계획이다. 외교통상부(현 외교부) 구주국장과 주유고슬라비아 대사를 거친 뒤 2003년 차관보 겸 북핵 6자회담 초대 수석대표를 맡았고, 이어 주독일 대사와 국가정보원 1차장 등을 지냈다. 대학에 몸담았던 2016년 당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의 영입 인사로 정치권에 발을 들였고 20대 총선 때 비례대표로 당선됐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