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금융중심지 분과위원회 구성…"변화에 탄력적 대응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책총괄, 금융인력 양성, 국제협력 분과 구성

뉴스1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14일 부산 친환경설비 조선기자재업체 (주)파나시아를 방문해 부산·경남지역 조선기자재 업계 현장간담회를 진행했다(금융위원회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민정혜 기자 =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이하 금추위)가 17일 은행회관 뱅커스클럽에서 38차 위원회를 열고 금융중심지 정책방향 과제 발굴과 세부 논의 과제별 정책 제언을 위해 분과위원회를 구성했다.

분과위원회는 정책총괄, 금융인력 양성, 국제협력 등 3개 분야로 나눠진다. 정책총괄 분과는 금융중심지 정책의 기본방향·목표를 논의하고 종합적인 추진 전략을 도출한다.

금융인력양성 분과는 금융전문인력 양성정책의 방향과 기존 정책 추진실적을 평가한다. 국제협력 분과는 외국계 금융회사 유치전략, 해외 IR 내실화 등 금융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다.

분과위원회는 금추위 의사결정을 자문하기 위해 2019년 하반기부터 2020년 말까지 탄력적으로 조직·운영될 계획이다.

금추위는 국회에 제출됐던 2019년도 금융중심지 시책과 추진실적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앞으로 금추위는 자산운용과 핀테크 생태계 등 우리 금융 특화분야에 지원역량을 전략적으로 집중해 국제 선도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금추위는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성된 금융위원회 산하 심의·의결기구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위원장을 맡고, 김용범 기획재정부 차관 등 정부위원 4명,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등 유관기관 6명, 서진석 한영회계법인 대표 등 민간위원 10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됐다.

은성수 위원장은 "우리나라가 금융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고 아시아 주요 금융중심지로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과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대내외 환경 변화를 민첩하게 인지하고, 기회와 강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금융중심지 정책 추진 노력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성과를 도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현실을 냉정히 받아들인다"며 "우리나라의 연금자산 등 풍부한 금융자산, 전문 인력과 우수한 주거·문화환경 등 강점을 충분히 활용해 다시금 도약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mjh@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