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면세점 '빅3' 인천공항 입찰 경쟁 '눈치싸움' 치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면세점 입찰을 놓고 롯데, 신라, 신세계 '빅3'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팩트 DB


12월 중 제1여객터미널 8개 구역 입찰…최장 10년 운영 가능

[더팩트|한예주 기자] 내년 특허권이 만료되는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면세점을 놓고 대기업간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안정적인 매출 성장이 보장될 뿐 아니라 관세법 개정으로 최장 10년간 운영이 가능하다는 잇점을 확보하기 위한 업계 '빅3'의 수 싸움에 벌써부터 업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 8월 임대차 계약이 만료되는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 사업권 8개 구역에 대한 입찰이 연말 진행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롯데(DF3) △신라(DF2·DF4·DF6) △신세계(DF7)가 운영 중인 5곳이 대기업의 몫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SM면세점이 운영 중인 DF9, 시티플러스 DF10, 엔타스듀티프리 DF12 구역이 입찰 대상이다.

애초 인천공항공사는 11월 초에 인천공사 면세점 입찰 공고를 낼 계획이었으나, 12월로 한 달 미뤘다. 임대료 방식과 면세점 매장의 전체 디자인 콘셉트를 정하지 못해 연기했다는 게 공항공사 측 설명이다.

인천공항 면세점의 경우 지난해 매출 2조6000억 원으로, 세계 면세점 매출 1위의 구매력이 보장된다는 특징이 있다. 최장 10년간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도 업계의 구미를 당긴다. 지난해 관세법 개정으로 대기업 면세점 특허 기간에 대한 한 차례 갱신이 가능해졌다.

기존 최저보장금액 방식이 아닌 매출과 연동해 일정 비율을 임대료로 내는 영업요율 산정방식이 적용될 경우, 임대료 부담도 예전보다 덜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제2터미널 개장에 따른 이용객 분산으로 임대료를 27.9% 일괄 인하한 전례가 있는 만큼, 인천공항공사 최소수용금액도 기존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다.

더팩트

이번 입찰은 최장 10년간 운영이 보장된다는 특징이 있다. 사진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모습.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최근 몇 년 새 입찰 경쟁에서 잇달아 고배를 마신 롯데면세점은 자존심 회복을 벼르는 눈치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인천공항 면세점을 신세계에게 뺏기면서 철수한 이력이 있어, 이번 입찰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분기 기준 국내 면세시장 점유율은 롯데 39%, 신라 30%, 신세계 18%로 격차가 줄었다.

신라면세점도 무려 3개 구역이 걸린 만큼 반드시 수성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인천공항에서 매출이 가장 높은 화장품, 향수 판매 사업권을 사수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세계면세점의 경우 추가 매장을 운영할 시 수익 등을 면밀히 검토한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공항 사업장이 없는 현대백화점면세점도 입찰 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 무역센터점 한 곳만 운영 중인 현대백화점면세점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추가 사업장이 절실한 상황이다. 면세사업 실탄을 마련하기 위한 2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단행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 공고에 다들 촉각을 내세우고 있다"며 "10년(5+5) 계약이 될 것으로 예상돼 국내에서는 당분간 이런 기회는 없다는 예상이 많다"고 말했다.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면세점 매출은 12조 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가운데 롯데(4조4332억 원), 신라(2조9701억 원), 신세계(2조930억 원) 등 국내 '빅3' 면세점의 올 상반기 매출은 총 9조4963억 원으로 전체의 80%를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hyj@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