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외곽 해변가인 에겔셀드 지역의 고층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기초공사를 하고 있다. 러시아는 개발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극동지역에만 북한 노동자 2만명을 받아들였다. 블라디보스토크=배우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 노동자 국제 고용을 금지하는 유엔 제재를 회피하는 곳으로 러시아 서남부에 위치한 흑해 연안지역 자치공화국 압하지야가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어떤 국제기구에도 승인받지 못한 국가인 압하지야에 북한 노동자들이 고용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러시아가 전략적으로 압하지야에 약 400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이주해 고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타밀라 메르츠콜라바 압하지야 상공회의소장은 지난해 북한으로부터 초청을 받고 평양을 방문했을 때 북한 정부 관계자들이 노동자 파견을 제의했다고 밝혔다고 WP는 전했다. 이에 따라 현재 압하지야로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은 이곳에서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이나 철로 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상태다.
WP에 따르면 미국은 압하지야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 400명이 매년 북한에 5억달러 이상을 송금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전문가들도 러시아가 압하지야를 이용해 북한의 생명줄을 유지해주고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알렉스 멜리키시빌리 IHS마킷 수석연구원은 “러시아 정부가 북한과 압하지야 간 경제적 유대 관계를 증진시키려고 하는 것은 합리적이다”며 “한 나라는 ‘불량국가’고 다른 한 나라는 전적으로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고 WP에 전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에 따르면 올 12월 22일까지 북한 해외파견 노동자들은 본국으로 완전 송환돼야 한다. 이에 따라 러시아에서도 최고 4만명까지 이르렀던 북한 노동자들은 지금 약 1만명 수준으로 감소된 상태다. 하지만 러시아 극동 사할린 지역에서 일하고 있던 북한 노동자 중 일부가 압하지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WP에 따르면 1,000여명에 달하던 극동지역 북한 노동자들은 이제 120명만이 남아 있지만 90여명은 지난 2년동안 압하지야로 옮겨 갔다. 북한 노동자를 고용했던 유리 댜코프는 WP에 “제재 때문에 친구를 버리는 것은 옳지 않다”며 사할린 대신 압하지야의 건설업 일자리를 찾아 준 사실을 인정했다. 마리아 자카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러시아는) 제재 조약에 의해 규정된 의무를 신중하게 이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압하지야는 조지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할 때 조지아로부터 독립하려 했지만 친러시아 성향이라는 점 때문에 미국이나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압하지야를 국가로 승인한 나라는 베네수엘라와 시리아 같은 소수 친러시아 국가 정도다.
김진욱 기자 kimjinuk@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