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대법원 판결 앞둔 신동빈…롯데 ‘긴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정적 경영이냐, 총수 부재 리스크 재발이냐 판가름

신 회장, 경영 복귀 1년간 국내외서 활발한 현장경영

대규모 투자·글로벌 사업 재개·투명성 강화 등 나서

이데일리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롯데지주)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롯데그룹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이번 결정으로 안정적인 경영을 이어갈 수 있을지, 아니면 최악의 리스크로 꼽히던 총수 부재의 상황을 다시 겪게 될 지 판가름이 나기 때문이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정 농단 사건에 연루돼 재판에 넘겨진 신 회장의 상고심 선고가 오는 17일 열린다. 앞서 진행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상고심에서 대법원이 ‘경영권 승계를 위한 묵시적 청탁’을 인정하고 파기 환송한 만큼 롯데 역시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앞선 2심에서 재판부는 이 부회장은 경영권 승계 작업의 실체가 없다며 이 부분을 뇌물로 인정하지 않았다. 반면 신 회장이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건넨 것은 롯데 면세점 월드타워점 특허권을 얻기 위한 묵시적 청탁으로 보고 뇌물 공여 혐의를 유죄로 판단했었다.

만약 이번 재판에서 파기환송 판단을 내리면 신 회장은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을 받아야한다. 그런 만큼 롯데 입장에서는 집행유예 확정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라는 게 재계 분석이다.

신 회장은 지난해 10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받고 경영에 복귀한 뒤 1년 동안 국내외를 누비며 활발한 현장 경영을 펼쳐왔다. 그러나 아직 숙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대법원 판결에 따라 그룹의 운명이 달라질 수 있어 롯데그룹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로 신 회장은 경영복귀 직후인 지난해 10월 향후 5년간 국내외 전 사업 부문에 걸쳐 50조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롯데는 그룹의 양 축인 유통 부문과 화학 부문을 중심으로, 2023년까지 사업 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데 지속 투자할 방침이다.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미국, 중국, 러시아 등에서 해외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롯데는 지연됐던 글로벌 사업에 대한 투자도 재개했다.

경영복귀 후 첫 해외 일정에 나선 신 회장은 지난해 12월 베트남을 방문해 현지 사업을 점검하고 응웬 쑤언 푹 베트남 총리를 만나 투자 확대 및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후 인도네시아 자바 반텐주에서 개최된 대규모 유화 단지 기공식에도 참석했다.

특히 지난 5월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주에 위치한 에탄크래커 공장 등 투자 확대 및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에탄크래커 공장에 투입된 사업비는 총 31억 달러(약 3조 6000억원)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가장 큰 대미 투자이며 역대 한국 기업으로는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오너의 결단이 없이는 이뤄지기 힘든 투자라는 게 업계 시선이다.

신 회장은 경영복귀 이후 자신이 약속했던 그룹의 경영투명성 강화와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롯데는 2017년 10월 롯데지주를 설립했고 현행 공정거래법의 금산분리 규정에 따라 금융 계열사 매각을 올해까지 완료해야 했다. 이에 공개매각을 통해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을 각각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과 JKL파트너스에 매각해 최근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까지 통과했다.

또 롯데캐피탈을 일본 롯데홀딩스로 넘겼고 지난달 말 마지막 남은 롯데액셀러레이터 지분 9.99%도 호텔롯데로 매각했다. 이에 따라 지주사 출범 이후 금산분리 행위 규제 준수 요건을 모두 총족하게 됐다.

기업가치 증대 및 주주 가치 제고에도 적극 나섰다.

롯데지주는 신 회장 경영복귀와 함께 호텔롯데가 보유한 롯데케미칼 지분과 롯데물산이 보유한 롯데케미칼 지분 총 796만 5201주(지분율 23.24%)를 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입해 롯데 유화사들을 편입했다.

그룹의 지주 체제를 더욱 안정화하는 것은 물론, 유통 및 식음료 업종에 편중되어 있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보통주 발행주식 총수의 10%에 달하는 1165만 7000주 규모의 자기주식을 소각하고 4조 5000억원 규모의 자본잉여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재판을 앞두고 결과를 예단할 수 없는 만큼 롯데 입장에서는 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집행유예로 결정이 나서 신 회장이 경영을 계속 진두지휘할 수 있기를 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