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中 시장서 韓 메모리 반도체·화장품만 경쟁 우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비재 시장 韓 제품 점유율 3.4% 불과
무협 “수출 품목 다변화·기술력 높여야”


중국 시장이 고급 소비재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와 화장품을 제외하면 뚜렷한 경쟁우위를 보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상품 수입 구조는 산업고도화로 인해 고부가가치 품목을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2008∼2018년 중국의 중간재 수입시장을 기술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부가가치가 낮은 저·중위 기술제품의 비중이 10년간 3.8% 포인트와 6.3% 포인트 각각 감소했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고위 기술제품은 36.1%에서 41.3%로 5.2% 포인트 증가했다.

중국의 고위 기술 중간재 수입 시장의 국가별 점유율은 한국이 21.1%로 일본(6.8%), 미국(4.2%) 등에 앞섰다. 하지만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하면 고위 기술 중간재 수입 시장에서 올해 상반기 한국의 점유율은 9.7%로 일본(7.0%)과의 격차가 2.7% 포인트로 좁혀진다.

또한 중국의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3.4%에 불과해 독일(12.0%), 미국(11.4%), 일본(10.0%) 등과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그나마도 한국산 소비재 수입 중 화장품의 비중이 2018년 기준으로 39.1%에 달해 단일 품목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강성은 무역협회 연구원은 “반도체와 화장품에 편중된 수출품목을 다변화하고 기술력과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